[더팩트 | 대구=정창구 기자] 대구시 군위군이 대구 도심의 군부대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방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 등 5개 군부대의 이전 예비후보지로 군위군, 경북 영천시, 상주시 등 3곳을 선정했으며, 내달 초 최종 후보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 인구 소멸 위기의 군위군…학령인구 감소로 폐교 속출
군위군은 심각한 인구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군부대 유치가 이를 해결할 유일한 해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군위군의 노령화 지수는 1033.84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 따르면 군위군(614.29㎢)과 면적이 비슷한 서울시(605.2㎢)가 57.94, 대구시 181, 경북 236.77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이며,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경북 울릉군(448.86), 영양군(696.54), 전남 신안군(629.94)보다도 훨씬 높다.
군위군은 2023년 대구시와의 행정구역 통합 이후 인구 증가가 기대됐으나, 오히려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폐교 및 휴교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현재 군위군 내 초등학교 6개, 중학교 4개, 고등학교 1개를 포함한 전체 학생 수는 847명에 불과하며, 5년 내 대부분의 학교가 학생 수 10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립학교 병설유치원 8곳 중 지난해 3곳이 휴원했으며, 올해도 최소 학급편성 인원(5명)을 채우지 못해 4곳이 추가로 휴원에 들어갔다.
이에 대구시교육청은 군위초, 군위중, 군위고를 거점학교로 지정하고 국제 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교육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 군위군, 군부대 유치 총력전…"최적의 입지"
군위군은 19일 군위전투전승기념공원에서 군부대 이전 유치를 기원하는 행사를 열었다.
이날 김진열 군수를 비롯해 기관·단체장, 지역 대표 100여 명은 2만 3,000여 명의 군민과 출향인의 뜻을 담아 군부대 이전 후보지로 최종 선정되기를 염원하는 기원제를 올렸다..
26일에도 군민 대표 200여 명이 대구시충혼탑을 방문해 기원행사를 열 예정이며, 군위군의회, 이장연합회, 체육회, 새마을회, 부녀회, 농업인회 등 지역 단체들도 군부대 이전 유치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군위군은 군부대 이전을 위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예정 부지를 중심으로 국도 28호선(삼국유사 화수우보 선곡), 국지도 79호선(부계 창평의흥 읍내), 지방도 919호선(효령 성리우보 이화) 등 교통망 정비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 신설, 중앙고속도로 6차선 확장, 조야동명 광역도로 개설, 대구 도심과 군위를 연결하는 철도망 확충 계획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군 작전 수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군위군은 군인과 군 가족을 위한 맞춤형 ‘민군상생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주거, 상업, 산업, 교육, 의료시설(계명대 동산의료원 군위분원) 등 인프라를 갖춘 자족형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6개 골프장(153홀), 전국 최대 규모의 180홀 파크골프장, 공식 경기 규모의 야구장, 종합테니스장, 종합운동장, 스포츠센터 등을 보유해 군 가족들에게 수준 높은 여가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 대구시 구역 내 이전으로 행정 혜택 유지
군위군은 대구시 1학군에 편입돼 있어 군인 자녀들이 대구시 내 모든 고등학교에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군 가족들은 기존에 누리던 대구시의 행정 및 복지 혜택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대구시는 ‘대구광역시 군부대 교류·협력에 관한 조례’를 통해 군인 및 군부대 지원책을 보장하고 있다.
이전 사업 절차도 타 지역보다 간소하며, 대구시의 인구 유출 및 경제적 손실 없이 도시 개발을 추진할 수 있어 여러 측면에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김진열 군수는 "군위는 역사적 당위성, 대구 도심과의 접근성, 주거·교육·여가 등 군인 가족들에게 최적의 정주 여건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두루 갖췄다"면서 "군민들의 뜨거운 염원과 함께 군부대 이전이 성사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tk@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