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의원,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위법 치유법' 대표 발의
  • 곽시형 기자
  • 입력: 2025.02.20 09:39 / 수정: 2025.02.20 09:39
양곡관리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로 위법 요소 남아 있는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법적 근거 마련 위한 재발의
윤준병 의원이 20일 위법적인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위법치유법을 수정·보완하여 다시 발의했다. /윤준병 의원실
윤준병 의원이 20일 위법적인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위법치유법'을 수정·보완하여 다시 발의했다. /윤준병 의원실

[더팩트 | 정읍=곽시형 기자] 농협경제지주가 시장격리곡을 매입하고 이후 농림축산식품부가 농협경제지주의 매입자금을 분할 정산하고 있는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이 명확한 법적 근거 없이 위법적으로 시행되어 온 사실이 작년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도 정읍시·고창군)이 20일 '국가재정법'에 따른 국고채무부담행위로서 시장격리곡 매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융자 또는 보조할 수 있도록 하고 원금 및 이자 등에 대한 융자·보조의 규모 및 방법과 기간을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하도록 해 위법적 요소를 치유하는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위법치유법'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양곡수급안정대책의 운용 또는 양곡의 출하(出荷) 및 가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농업협동조합이나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게 양곡을 매입하고 판매하게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협경제지주가 시장격리곡을 매입한 자금에 대해 '양곡관리법' 제16조 제3항에 근거해 분할상환하는 방식으로 정산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조항은 농림축산식품부가 농협 등에 양곡을 매입 또는 판매하게 할 수 있다는 규정일 뿐, 농협경제지주의 시장격리곡 매입자금에 대한 농림축산식품부의 외상거래방식의 근거가 될 수 없음을 윤 의원은 작년 국정감사에서 밝혀냈다.

특히 윤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외상거래방식은 '국가재정법' 제25조에 따른 국고채무부담행위임에도 법적 근거 없이 위법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위법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작년에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역시 회계제도를 더 손 볼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고 그 결과 작년 11월 국회를 통과했다.

그러나 지난 1월 정부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결과적으로 부결되면서 아직까지 위법적 요소가 치유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이에 윤 의원은 위법적인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장격리곡 정산사업 위법치유법'을 수정·보완해 다시 발의했다.

윤준병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은 국가재정법에 따른 국고채무부담행위이지만 현행법은 국고채무부담행위로서의 법적 근거 없이 위법적으로 시행·운영되어 왔다"며 "작년 국정감사에서 농림축산식품부에 명백한 위법사항임을 따져 묻고, 국감 후속조치로서 관련 법안을 대표 발의해 국회를 통과했지만, 정부의 거부권 남용으로 인해 부결돼 위법적 요소는 아직까지 치유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의원은 "농림축산식품부는 상임위 예산결산심사소위 등을 통해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법적 근거 마련 등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함을 인정했지만, 정작 거부권 남용으로 국회를 통과한 사항을 스스로 부결시키는 자가당착의 극치를 보여줬다"며 "시장격리곡 정산사업의 투명한 재정 운영을 위한 개정안이 신속히 논의돼 하루빨리 위법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coop@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