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중등교사 임용시험 점수 산정 오류로 피해를 본 응시생을 기간제 교원으로 우선 채용하는 방안을 내놓아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해당 아이디어는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직접 낸 것으로 전해졌는데, 일부 도의원들은 교육청 잘못을 기간제 교사 준비생에게 떠넘기는 실효성 없는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18일 <더팩트>의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4일 '2025 경기도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발표결과 변동자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는 기간제 교원 채용 지원 방안이 포함됐다.
이번 사태로 당락이 뒤바뀐 응시생 49명이 앞으로 1년 내 공립학교 기간제 교사로 지원하면, 이들을 우선 임용하고 그 기간도 경력으로 인정하겠다는 것이다.
'기간제 교원 운영 지침'에는 임용후보자를 우선 선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실상 피해 응시자들에게 '임용후보자'에 준하는 자격을 주겠다는 얘기다.
고아영 경기도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같은 날 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의 업무보고에서 "기간제 교원으로 채용하는 것은 교육감이 판단해 결재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도의원들은 법률적 근거도 없이 기간제 교원 선발에 '불평등을 야기하는 조치'라고 질타했다.
김광민 경기도의회 의원(부천5)은 "방법론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떠나 왜 사회적 약자인 기간제 교원을 준비하는 지원자들에게 교육청의 책임을 전가하려 하느냐"고 따졌다.
김 의원은 "평등권에 위배되는 이런 대책이 나왔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평등교육의 가치를 망가트리는 기본적인 사고방식이 문제"라고도 했다.
다른 한 의원도 "교육감 판단이라는 것에 오히려 유감을 전한다"며 "소수점 차이로 당락이 좌우된 이들이 계약직을 지원할 것이라는 생각도, 이들이 기간제 교원을 하면서 임용시험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도 안이하다"고 꼬집었다.
중·고등학교 교장 출신인 이인규 의원(동두천1)은 "기계적 오류가 아닌 인사 사고"라며 "결재라인 어느 누구도 걸러내지 못했다"며 철저한 감사를 요구하기도 했다.
앞서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1일 오전 10시쯤 중등교사 임용시험 최종합격자 2000여 명을 발표했다가 37분 만에 중단했다.
'수업실연' 과목의 점수가 환산점수(30점 만점)가 아닌 원점수(60점 만점)가 반영된 데 따른 조치였다.
경기도교육청은 같은 날 오후 11시 50분쯤 합격자를 다시 발표했는데, 첫 발표에서 합격자였던 49명이 불합격 처리돼 98명의 당락이 뒤바뀌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