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교육청의 임용시험 점수합산 오류로 응시생 98명의 당락이 뒤바뀌어 논란인 가운데(<더팩트> 2월 12일 등 보도),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의 ‘이중적’ 태도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대학의 입시 실수에는 학생을 구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더니, 정작 도교육청의 과실에는 침묵하고 있다는 것이다.
13일 <더팩트> 취재를 종합하면 도교육청은 지난 11일 오후 11시 50분쯤 온라인 교직원 채용시스템을 통해 '2025학년도 경기도 중등학교 교사, 보건·사서·전문상담·영양·특수(중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최종합격자 수정 공고'를 냈다.
같은 날 오전 11시쯤 점수합산 오류를 발견해 재공고한 것이었다.
최종 합격자는 1809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49명은 최초 공고에서 빠진 응시자들이었다.
결과적으로 응시생 98명의 당락이 엇갈린 셈이다.
도교육청은 누리집에 도교육감 명의의 사과문을 올려 "혼란과 불편을 드려 깊은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며 "추후 유사한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임용시험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자체 과실로 ‘천당과 지옥’을 오가게 만든 피해자들에 대해 구제는 없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시험문제의 오류 등이 아니라 애초 잘못 합산한 점수를 제기준대로 수정한 것이어서 합격 여부가 번복된 응시생에 대한 추가합격 처리는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런 방침은 지난달 한 대학의 유사한 실수를 질타하던 임 교육감의 태도와는 다소 상반된 것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디지스트)은 지난달 17일 도내 한 고등학교 3학년 A군에게 불합격 결정을 취소하고 합격 처리했다.
합격 통보를 잘못했다가 A군이 강제 재수 위기에 놓이자 구제한 것이었다.
A군은 지난해 12월 26일 디지스트로부터 합격 전화를 받은 뒤 이미 합격한 다른 대학의 등록을 포기하고 디지스트를 선택하기로 했는데, 뒤늦게 누리집 합격자 명단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찾을 수 없었다.
디지스트는 "A군이 불합격했으나 담당자가 수험번호를 통지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며 법적책임을 지겠다고 설명했다.
임 교육감은 소식을 접하고는 발끈했다.
그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피해 학생에게 '법적으로 책임지겠다'는 답변은 대학이 학생에게 해서는 안 되는, 학생을 중심에 두지 않은 무책임한 답변’이라고 비판했다.
도교육청 차원에서 디지스트에 해결책을 요구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비할 것을 요청했다.
임 교육감 등의 압박에 디지스트는 입학관리위원회를 열어 입장을 번복하고 A군을 입학시키기로 했다.
임 교육감은 디지스트 결정에 "경위야 어쨌든 어른들의 실수로 학생의 꿈이 좌절당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며 "학생, 학부모, 교사 누구든 정당하지 않은 일을 당했을 때 교육청이 보호자가 돼 주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김광민 도의원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이를 꼬집으며, "디지스트 사건에서 임태희 교육감이 보여준 어른으로서의 태도를 기억하고 바람직하게 대응하시기 바란다"고 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