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다산신도시에 국내 최초 '철도 위 콤팩트시티' 조성
  • 신태호 기자
  • 입력: 2025.02.05 12:00 / 수정: 2025.02.05 12:00
남양주시와 업무협약 체결
김세용 GH 사장(오른쪽)과 주광덕 남양주 시장(왼쪽)이 업무 협약을 맺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GH
김세용 GH 사장(오른쪽)과 주광덕 남양주 시장(왼쪽)이 업무 협약을 맺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GH

[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국내에서 처음 철도를 복개한 상부공간에 콤팩트시티(압축도시)를 조성한다.

GH는 5일 경기 남양주 경기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남양주시와 다산신도시내 경의중앙선 철도 복개 상부공간에 '입체복합형 콤팩트시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콤팩트시티는 도시 중심부에 주거 및 상업시설 등을 밀집시켜 압축·고밀(高密) 개발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저출생과 인구 유출 등으로 인한 도시 소멸 위기를 막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GH와 남양주시는 국가철도공단의 위수탁을 통해 2023년부터 기존 경의중앙선(도농~양정)으로 단절된 약 600m 구간을 복개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철도를 덮어 그 위에 콤팩트시티를 조성하는 것은 이번이 국내 첫 시도다. GH는 철도로 인해 남북으로 단절된 도시를 연결하는 수준을 넘어 '한 공간에서 일하고(Work), 거주하고(Live), 즐기고(Play), 쉴 수 있는(Rest)' 매력적인 공간 조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GH에 따르면 주거 용도로는 1인, 신혼, 4인 가구가 생애주기별로 내 집 마련에 더 빨리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공공형 주거를 내놓을 계획이다.

또 대상지 주변의 대규모 업무 밀집지역과 연계한 창업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기존 상권과 겹치지 않게 놀고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시설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어 사계절 이용이 가능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실내 정원과 부대시설을 만들어 지역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키울 계획이다.

GH와 남양주시는 '철도 위 콤팩트시티' 조성 공사를 2026년 착공을 목표로 국토교통부 등과 지구계획변경 등 행정 절차를 빠르게 진행할 예정이다.

김세용 GH 사장은 "GH와 남양주시는 국내 최초로 철도 상부에 도시의 체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콤팩트시티를 추진한다"며 "이용률이 낮은 도심 내 유휴공간을 혁신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