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실증적 진단에 기반한 광역단위 재난대응 체계 확립 필요"
  • 신태호 기자
  • 입력: 2025.02.04 10:12 / 수정: 2025.02.04 10:12
재난 현장대응체계 '하향식 통제' 만으로는 부족
네트워크 거버넌스 중심 개편 필요
경기도 재난 대응체계 /경기연구원
경기도 재난 대응체계 /경기연구원

[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 내 최근 재난사례(화성시 아리셀 참사, 부천시 호텔 코보스 화재)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컨트롤타워 확립' 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는 재난 현장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경기도 재난 현장대응체계 개선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단순 매뉴얼 중심의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고, 재난 유형에 따라 필요한 정보 제공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 하향식 통제보다는 재난 대응 조직이 협력하는 관리체제(거버넌스)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제안했다.

또한 보호 장비 지급 미흡, 장애물 제거 지연 등 현장 대응 조직이 임무에 집중하기 어려운 업무 환경도 문제로 제시했다.

외부 인사의 과도한 방문으로 인해 본연의 임무 수행 대신 의전과 중복 보고에 부담이 가중되면서 현장 대응 인력의 몰입도가 저하되고 전문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점 역시 개선이 시급한 영역으로 꼽았다.

연구진은 '신속성'에 대한 지나친 집착이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로 인해 생존자와 유가족 지원 및 시민단체와의 협력이 부족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급자 중심의 정보 제공과 홍보 내용과 제공된 실제 서비스와의 상당한 격차로 공공부문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재난 이후 복구와 회복 과정에 필요한 동력이 저해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연구원은 대응 거버넌스 구조 개선을 위해 △기능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기능 군집별 부담당관(deputy officer) 훈련·배치 △민간부문과의 협력 촉진과 재난관리 인력 통합관리 △조정 기능 강화를 위한 진단 프레임 설계 및 연례 보고서 발간 등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임무 중심 거버넌스 관행 확립을 위해 △물자관리체계 개편을 통한 대응 인력의 신체적·정신적 보호조치 확보 △현장대응 방해 요인에 대한 강제처분 제도 이행력 강화 △외부 인사 지정 방문 구역 운영 및 절차 표준화 △전문성과 연계효과를 고려한 인력 운영 계획 수립 등을 제안했다.

또한 신속성 외의 다양한 가치도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재난 상황에서의 인권 침해 우려 사항 조사 및 개선 △사회적 학습을 위한 재난안전 데이터 관리 체계화 △보보다는 공공관계 형성(public relation) 중심으로 협업기능 개선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웅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재난관리에서 지역의 역할 강화는 광역 단위 재난대응 체계의 확립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선언적 구호가 아니라 실증적 진단에 기반한 정책 처방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며 "재난관리체계의 변화를 위해서는 법령 및 조례 개정, 재난대응 거버넌스의 전반적 설계 수정, 인권과 사회적 학습에 기반한 운영체계 개혁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