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 감사위원회는 12개 기관 종합감사 등의 내용을 담은 '2025년 경기도 감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4일 밝혔다.
감사 기본계획의 비전은 '사람중심 감사혁신, 기회수도 경기구현'으로 감사위원회 출범 당시 기본원칙 1호인 '인권 존중'을 반영해 설정했다.
이를 위한 4대 정책과제로 △도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감사 행정 △도민이 체감하는 청렴한 도정 구현 △적극적으로 일 잘하는 공직문화 조성 △성과 제고를 위한 소통·협업 다각화를 추진한다.
올해 종합감사 대상 기관은 부천, 김포, 평택, 동두천, 광명 등 5개 시와 경기도의료원, 경기연구원, 경기농수산진흥원,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복지재단, 경기교통공사,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등 7개 공공기관을 더해 총 12개 기관이다.
감사위원회는 감사 대상 공공기관을 지난해 3개에서 올해 7개로 확대해 기관의 건전성·책임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도정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신규·저연차, 업무 담당 기간이 짧은 공직자 등에 대한 현지 컨설팅을 실시해 행정 역량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감사반을 운영한다.
특정감사는 도의회 지적사항 등 도정 감사 이슈, 안전한 환경 조성 등을 반영해 총 7회 실시할 계획이다. 사회 이슈, 도정 감사 현안 등이 발생하면 추가로 감사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감사결과 이행실태(1~2월) △도정 모니터링(5월) △공공기관 공용차량 관리실태·채용실태(7월) △안전분야(8월) △데이터 활용(11월) △소극행정(12월) 분야에 대한 특정감사를 실시한다.
복무감사는 연중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예방 감찰을 강화하고 취약시기 특별감찰을 4회 실시한다.
감사는 △민생안정 도모 △공직기강 확립 △품위 훼손 엄단 △신뢰저해 행위 근절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감사기구 간 소통·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감사원과 협업 감사, 시군 감사기구와 감사협의체 도입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공직자의 적극행정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확대된 적극행정 면책 범위를 감사계획 통보시 함께 안내하고 감사 과정에서 적극 반영한다.
이와 함께 불분명한 법령 등으로 능동적인 업무 처리가 어려운 공직자들을 위해 찾아가는 사전 컨설팅 감사반 운영도 추진한다.
안상섭 경기도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신뢰받는 도정 운영을 위해 감사기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사람중심의 감사혁신을 통해 적극적으로 일하는 공직문화 조성과 건전하고 효율적인 기관 운영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