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부산=조탁만 기자] 오는 4월 2일 예정된 부산시교육감 재선거를 앞두고 진보 진영 후보 단일화가 사실상 물 건너 갔다. 진보 진영에서는 두 명의 예비후보들이 출사표를 냈지만 이 중 한 명이 단일화에 참여하지 않기로 공식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김석준 예비후보는 31일 부산 민주진보교육감 추진위원회(추진위) 후보 단일화 제안과 관련, 최종 입장문을 내고 "추진위는 대표성과 투명성 그리고 공정성과 적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저의 공개 질의에 일주일이 넘도록 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4일 제가 문제 제기한 이후 찾아온 네 분의 '추진위' 관계자는 두 가지 사실을 시인했다"면서 "5000원 내고 가입한 추진위원(선거인단)이 부산시민인지 아닌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다.
또 "참가자들의 직업 역시 확인할 수 없어 교사와 공무원이 절반 이상 되지 않도록 한 경선 규칙 역시 지킬 수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마치 우리 선거법에 대한민국 국민만 투표권을 가질 수 있다고 명시해 놓고 외국인 누구나 투표할 수 있게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다시 말해 부산시민이 아닌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참여해 민의를 심각하게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김 예비후보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 중에서 저와 상대후보의 지지율은 '45.8대 9.3'로 그 차이가 거의 5배에 달했다"며 "제가 '추진위'의 단일화에 참여해도 불리할 것이 전혀 없음에도 참여하지 않기로 한 것은 선거 부정으로 인해 치러지는 재선거가 다시 탈법과 위법의 빌미를 주는 것은 부산시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이유로 추진위의 단일화 과정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며 "거듭 말씀드리지만 '나의 승리'가 아닌 '우리의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진보 진영 후보로는 현재 차정인 예비후보(전 부산대 총장)와 김석준 예비후보(전 부산시교육감)가 있다. 사실상 단일화를 거부한 김 예비후보와 달리 차 예비후보는 전날 민주진보교육감추진위의 단일화 후보에 등록했다. 그는 "단일화가 민주와 진보의 가치를 공유하는 우리 모두의 승리 여정이 돼야 한다"며 "상처 주고 분열하는 과정이 아닌 우리가 모두 성장해서 승리하는 단일화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보수 진영 후보 단일화도 관심이 집중된다. 진보 진영에서 분열로 진보 표심이 쪼개지면 보수 진영의 단일 후보가 선거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어서다. 최근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관련, 보수·진보 후보 양자 가상대결에서 보수 성향의 후보가 진보 성향의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지른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여론조사기관인 미디어토마토가 부산CBS 의뢰로 지난 23~24일 이틀 동안 무선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부산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남녀 1000명에게 '부산교육감 재선거가 진보 성향의 후보와 보수 성향 후보의 양자대결 구도로 치러질 경우 어떤 성향의 교육감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어봤는데 지난 27일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보수 성향 후보 47.3%, 진보 성향 후보 40.4%였다. 양자대결 구도 시 격차는 6.9%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p) 밖이다.
보수 진영에서는 박종필 전 부산교총 회장과 전영근 전 부산교육청 교육국장, 박수종 전 부산교육청 창의환경교육지원단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이들과 함께 최윤홍 부산시교육감 권한대행(부교육감)과 전성하 명지자연유치원 이사장도 부산시교육감 재선거에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hcmedia@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