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국토교통부와 소방당국이 30일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 정밀 감식을 진행한다.
부산소방재난본부는 이날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와 부산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에어부산 BX391편 항공기(HL7763) 합동 감식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항철위는 음성기록장치와 비행기록장치 등 블랙박스를 회수해 정밀 분석을 벌일 예정이다.
소방당국 등은 이날 오전 사전 회의를 진행하고, 오후 현장에서 안전 확보 확인을 마친 뒤 감식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다만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합동 감식이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지난 28일 오후 김해공항에서 출발해 홍콩으로 가려던 에어부산 BX391편(기종 A321) 후미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항공기에는 외국인 22명을 포함한 승객 169명과 승무원 6명, 탑승정비사 1명이 타고 있었다.
계류 중인 항공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탑승객과 승무원 모두 전원 대피했다. 대피 과정에서 7명이 경상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항공기 후미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동체 상부를 태웠다.
국토부는 사고 직후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역사고수습본부를 꾸리고 사고 수습과 탑승객 피해 지원에 나섰다. 에어부산은 대표이사 주관으로 초동 조치팀과 비상대책반을 가동했다. 최근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하면서 에어부산을 손자회사로 둔 대한항공도 임원을 파견했다.
에어부산에 따르면 당시 캐빈승무원이 화재를 확인한 직후 기장에게 상황을 보고했다. 기장은 유압 및 연료 계통을 즉시 차단하고 비상탈출을 선포했다. 다만 별도 안내방송은 없었다. 에어부산은 시간적 여력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긴박하게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에어부산은 비상구열 착석 승객이 탑승 직후 승무원에게 탈출 시 비상 개폐 방법을 안내 받고 승무원을 돕는 협조자 역할에 동의해야만 착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탈출 시 승객이 직접 비상구 조작 및 탈출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에어부산은 임시 항공편을 투입해 기존 탑승객 중 탑승을 희망하는 승객을 대상으로 김해공항에서 홍콩으로 출발하게 했다. 돌아오는 항공편에는 기존 화재 사고 항공기 후속편으로 도착 예정이었던 승객을 탑승시켜 운항하게 했다.
국토부는 지난 29일 관계기관 합동 대테러 조사를 벌이고 항공기 내 반입이 금지된 위해물품 등 테러와 관련된 용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향후 항철위 조사 등에서 용의점이 파악되면 관계기관 합동 추가 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화재가 기내 뒤쪽 선반 짐에서 시작됐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반입된 휴대용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가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항철위와 소방당국은 배선 합선 등 가능성도 포함해 조사를 벌일 전망이다.
부산경찰청은 합동 감식 결과를 검토해 형사기동대를 중심으로 수사본부를 꾸려 업무상과실치상 혐의 등을 수사할 예정이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