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남원=최영·이경선 기자] 설 명절을 앞둔 주말, 명절 준비로 분주한 시민들 사이에서 남원시가 지급한 민생지원금 카드 사용과 관련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26일 남원시에 따르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일부터 시민 1인당 30만 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했다.
이 카드는 올해 6월 30일까지 남원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기한 내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자동 소멸된다.
또한 연매출 30억 원 이상의 업체에서는 사용이 제한된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선불카드를 농협 하나로마트나 로컬푸드 매장에서 사용할 수 없고, 사용처가 지나치게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농협 하나로마트와 같은 시민들이 자주 찾는 주요 식료품 매장이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면서 선불카드 사용이 제한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남원에 거주하는 시민 A(44, 남) 씨는 "(설을 준비하면서) 제수 용품과 생필품을 구매해야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제한돼 불편하다"며 "특히 많은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농협 하나로마트에서도 카드를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다"고 말했다.
남원시는 전북연구원의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분석 결과에서 마을 87.8%가 식료품 소매점이 없는 '식품사막화'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의 마을 주민들은 농협 하나로마트에 대한 식료품 구매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선불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고령의 마을 주민들이 대중교통이나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반면, 완주군은 군민 1인당 30만 원이 사용 가능한 민생안정지원금 선불카드를 지급하며, 유흥업소를 제외한 농협 하나로마트와 로컬푸드 매장 등 다양한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해 남원시와 대조적이다.
더불어 남원시는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약국 역시 매출 30억 원을 초과해 선불카드 사용이 제한되면서 명절 기간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명절 장보기에 나선 시민 B(55, 남) 씨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취지는 좋지만 음식점이나 일부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제한적이고, 실질적인 체감 효과가 크지 않은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영태 남원시의회 의장은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시민들의 불편과 제기된 문제점들을 행정에 건의했으며, 앞으로 이러한 점들을 면밀히 검토해 보다 실효성 있는 사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coop@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