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인지도 15% 상승… 지분적립주택 등 핵심사업 확대도 긍정 평가
  • 신태호 기자
  • 입력: 2025.01.20 10:34 / 수정: 2025.01.20 10:34
기업 인지도 14.7%, 필요도 8.1% 상승
GH는 일반인의 인지도, 호감도와 주요 정책에 대한 광고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및 광고효과 조사’를 실시했다./GH
GH는 일반인의 인지도, 호감도와 주요 정책에 대한 광고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및 광고효과 조사’를 실시했다./GH

[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일반인 인지도가 약 15%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GH는 공사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 호감도와 주요 정책에 대한 광고효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브랜드 인지도 및 광고효과 조사’를 실시하고 20일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만 19~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 인지도 부문에서 ‘GH, 경기주택도시공사에 대해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4.8%가 ‘들어본 적 있다’고 답해 전년(70.1%)보다 14.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지역에서 인지도가 64.8%에서 91.3%로 26.6% 급등했다. 경기지역에서는 75%로 전년보다 1.3% 상승했다.

‘GH에 대해 호감이 간다’고 답한 응답자는 25.4%로 지난해와 비교해 1.3% 높아졌다. ‘보통’은 61.7%, ‘비호감’은 12.9%였다.

‘GH의 역할이 수도권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2.6%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보다 8.1% 증가한 수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66.2%로 가장 높았고 △50대(62.5%) △30대(62.2%) △40대(59.8%)의 순이었다.

지난해 GH가 역점적으로 추진한 핵심사업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생활밀착형 공간복지 34.0% △제3판교테크노밸리 30.4%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28.8% △스마트&콤팩트 시티 23.8% 순으로 나타났다.

도와 GH가 경기도형 공공분양주택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분적립주택 인지도는 2023년에 비해 8.1% 상승했다. 특히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8.8%가 앞으로 지분적립형 주택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은 수분양자가 원가 수준의 분양가격으로 최초 주택 지분의 일부(10~25%)만 취득해 거주하면서 20~30년에 걸쳐 나머지 지분을 분할 취득하는 형태다.

실제로 GH가 지난해 10월 전국 2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광교 A17블록 지분적립형 청약 의향’을 묻는 질문에 ‘청약의사가 있다’는 대답이 83.7%로 호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적 수요계층인 30대(86.3%), 40대(84.2%)에서 긍정 답변이 많았다.

김세용 GH사장은 "GH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가 높아진 것은 공사가 추진하는 핵심사업에 많은 도민들이 관심을 갖고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지분적립주택 등 주요 사업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