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고양=양규원 기자] 경기 고양시가 떨어진 성장 잠재력을 향상하기 위해 '고양 리브랜딩'을 선언하고 올해 핵심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지만, 시의 일자리 창출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6일 국가통계포털과 시에 따르면 민간 분야의 고용지표는 민선 7기인 지난 2021년 하반기에 비해 지난 2024년 상반기에 15세 이상 인구와 경제활동인구가 소폭 증가하고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등 유의미한 변화를 읽을 수는 없었다.
반면 직접일자리 창출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등 공공분야 일자리 창출의 경우, 민선 7기인 지난 2021년에 비해 민선 8기인 지난 2023년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여파와 내수경기 침체 등으로 수 년간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양질의 일자리'라고 할 수 있는 공공분야 일자리 창출은 뒷걸음치고 있었던 것.
실제 지난 2021년 공공일자리 창출은 3만 3527건이었으나 2년 뒤인 지난 2023년 실적은 2만 4362건으로 27.3%(9165건) 넘게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같은 기간 시는 일자리인프라 구축을 2846건에서 5018건으로 76.3%(2172건) 늘렸으며 창업지원은 465건에서 579건으로 24.5%(114건) 확대함으로써 직접적인 일자리 창출에는 인색한 반면 경제활동인구 스스로 일자리를 찾거나 만들도록 하는 지원분야에 행정력을 집중했다.
이에 시민 최모 씨(50, 일산동구)는 "자영업자들은 하루가 멀다하고 문을 닫거나 문도 닫지 못할 정도로 어려움을 격고 있고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들도 계속 늘어나는 등 시민들은 어느때보다 일자리를 찾고 있는데 이럴 때 공공기관에서 일자리를 만들어 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그는 또 "지자체가 모범을 보이면서 기업들에게 '우리 지역에 일자리를 만들어 달라'고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자족도시를 만들겠다'는 말이 공염불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다"고 실망감을 드러냈다.
일부 공직자들도 "그간 민선 8기는 공공일자리 창출에 다소 부정적인 정책을 펼친 것이 사실인데 갑자기 올해 가장 큰 화두가 '일자리 창출'이라고 하니 적잖이 당황했다"며 "올해는 고사하고 민선 8기 임기 중이라도 큰 폭으로 일자리가 늘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귀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정부와 매칭을 통해 진행해 오던 '중장년일자리 사업'이 올해부터 정부 지원이 사라져 폐지될 상황이었지만 우리 시는 일자리기금을 통해 올해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등 공공일자리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통계치를 보면 일자리 창출에 인색했다고 볼 수 있으나 시 여건에 맞는 정책적 변화일 뿐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동환 고양시장은 지난 13일 신년기자회견 자리에서 오는 2030년까지 총 3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고양 리브랜딩'의 1순위 핵심과제로 일자리를 꼽았으며 기업유치로 유입되는 일자리를 포함, △벤처기업육성촉지구 1만 2000여 개 △일산테크노밸리, 고양방송영상밸리 5만 2000여 개 △경제자유구역 9만여 개 이상 등의 일자리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vv8300@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