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학교방문 사전예약' 이용률 10% '불과'
  • 유명식 기자
  • 입력: 2025.01.16 10:34 / 수정: 2025.01.16 10:38
교사 52% "방문객 줄지 않아"
경기도교육청(남부신청사) 전경 /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남부신청사) 전경 /경기도교육청

[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교권보호 등을 위해 '학교방문 사전예약시스템'이 교육현장에서 외면 받고 있다.

시범 운영교 학부모 10명 중 8명 이상은 이 시스템을 사용한 경험이 없었고, 교사 2명 중 1명은 방문객이 줄지 않았다고 인식했다.

이는 경기도의회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 맡겨 '학교 방문 사전 예약시스템 도입 활성화 및 실효성 증대방안 연구'를 진행해 분석한 결과다.

16일 보고서에 따르면 산학협력단이 지난해 10월 28일부터 11월 5일까지 이 시스템을 시범운영 중인 68개교 학부모 3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32명(68%)이 예약시스템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의 3분의 1가량인 109명(32.0%)은 이 시스템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실제 시스템을 사용해봤다는 응답자는 45명(13.2%)에 그쳤다.

시스템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도 다소 낮은 편이었다.

매우 만족한다는 답은 42명(12.3%), 만족은 105명(30.8%), 불만족 20명(5.9%), 매우 불만족 20명(5.9%) 등 순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154명(45.2%)은 '보통'이라고 의견을 유보했다.

학부모들은 불만족의 이유로 △시스템 사용의 어려움(16명·27.1%) △자녀 만남의 제한(14명·23.7%) △인식 부족 (12명·20.3%) △홍보 부족(11명·18.6%) 등을 꼽았다.

예약시스템의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교사들도 있었다.

같은 기간 시범교 교사 353명에게 물은 결과, 응답자 184명(52.1%)은 기존보다 외부인의 학교 방문이 감소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사전 예약을 하지 않고 방문한 외부인의 출입을 막기 어려워서(114명·43.2%) △예약제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96명·36.4%) △학교 행사 및 초청에 의한 외부인 방문이 많아서(39명·14.8%)라고 답했다.

교사들은 시스템 확대를 위해서는 △관리자의 업무 부담 해소(88명·24.6%) △시스템 개선(70명·19.6%) △관련 법령 제정(69명·19.3%) △교직원 동의(61명·17%) 등이 우선 필요하다고 했다.

도교육청은 외부인 무단 침입 등으로 교사의 교육활동이 침해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지난해 상반기 초·중·고교 68곳에 예약시스템을 시범 도입했다.

시스템은 카카오톡 채널에서 대상 학교의 이름을 검색한 뒤 방문 대상, 목적, 일시 등을 입력하고 사전에 승인을 받는 식이다.

보고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에 대한 교사·학부모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사용자 불편 사항을 지속해서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스템 운영 과정에서 수집되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조치도 필수적이고 덧붙였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