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상에 사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활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온라인 스트리밍, SNS를 통하여 자신들의 인지도를 쌓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 구조가 연결되면서 신종 직업으로도 각광받고 있는 인플루언서의 신세계를 IMR(Influencer Multi-Platform Ranking)의 도움을 받아 조명한다. IMR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들의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랭킹화 하는 서비스다. <편집자 주>
[더팩트ㅣ조소현 기자] 많은 디자이너가 유튜브를 통해 자신의 작업 과정과 경험을 공유하며, 디자인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있다. 디자인을 단순한 '시각 요소'가 아닌 '개인적 경험'으로 인식하는 MZ세대가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이들의 채널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디자이너 유튜버들은 제품 디자인, UI(사용자 인터페이스)·UX(사용자 경험), 브랜딩 등 실무에 도움이 되는 팁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구독자와 활발히 소통한다. 디자인 이론을 쉽게 풀어내는 콘텐츠는 물론,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조언을 아낌없이 전달하며 전문성을 드러낸다. 유튜브는 이제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대중과 연결하는 중요한 창구로 자리 잡았다.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김아미 보이스오브유 연구원은 "현재 '해시태그'(#) 디자인을 단 유튜브 영상이 3만여개에 이른다"며 "검색 연령은 30대에 집중돼 있다. 한 달간 2만여건의 검색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튜버 '디고디원찬 dgodwonchan design'은 '미니멀리스트'의 대표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디자인 기초와 제품 브랜딩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계원예술대학 겸임교수 출신인 그는 실제 브랜드 디자인 전공 수업의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서체부터 제안서 작성까지 실무에 필요한 핵심 노하우를 전달한다.
그의 강의는 디자인 입문자뿐 아니라 고급 기술을 익히려는 디자이너들에게도 유용하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과 브랜딩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디자인의 본질을 이해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브랜드의 비전과 미션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식, 서체와 컬러 선택의 기준, 제안서 작성법 등 실전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팁도 상세히 다뤄 시청자들은 브랜드 디자인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방법을 익힐 수 있다.
UI·UX 디자이너로 활동 중인 유튜버 'Madia Designer'도 웹디자인 실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을 아낌없이 공개하며 주목받고 있다. 그는 웹사이트를 꾸미는 데 그치지 않고, UX를 최적화하는 데 집중한다. 레이아웃과 색상, 글꼴, 이미지 등 디자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시각적 아름다움뿐 아니라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직관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웹 페이지 구성, 인터랙티브 요소, 애니메이션 활용 등 핵심 기술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 그는 웹디자인이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는 일임을 강조하며, 다양한 디자인 도구 사용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소개한다. 이론과 실전을 아우르는 실용적인 팁은 실무자한테까지 유용하다는 평가다.
유튜버 '스케치유나Sketch_yuna'도 아이패드 드로잉을 활용한 디자인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그는 아이패드 기반 디자인 툴을 사용해 빠르고 정밀한 제품 디자인 과정을 공개하며,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작업 방식의 강점을 보여준다.
초보 디자이너에게는 툴 사용법과 작업 흐름을 안내하고, 숙련자에게는 효율적인 작업 방식과 새로운 접근법을 제공한다. 아이패드를 활용한 디자인 가능성과 장점을 보여주며, 디지털 드로잉과 제품 디자인을 배우려는 이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 밖에도 K-컬처 플랫폼 보이스오브유가 제공하는 인플루언서 마켓 리서치(IMR) 자료에 따르면 △Jeongmo Han △감자의 디자인 티비 △오늘은 뭐 만들어? Maker’s StrangeLure △찌롱쌤미술시간 △디자이너왕구 △롤스토리디자인연구소 △텔유 Tell Your World △TAEHA LEE △DESIGNSORI 등이 주목할 만한 디자인 관련 유튜브 채널로 꼽힌다.
sohyu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