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발 통한 6·27 부동산 대책…7월 전국 상승 거래 비중 '뚝'
  • 이중삼 기자
  • 입력: 2025.08.11 10:13 / 수정: 2025.08.11 10:13
서울·경기 모두 상승 거래 줄고, 하락 거래 늘어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서예원 기자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서예원 기자

[더팩트|이중삼 기자]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대출 규제가 수도권에 집중 적용되면서, 매수 심리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1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달(46.5%) 대비 2.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했다.

이 흐름은 비수도권보다는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전월(48.1%) 대비 3.1%p 감소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줄었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늘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가 46.0%에사 43.2%로 줄어든 반면,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비수도권의 지난달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 43.5%로 전월 대비 각각 -0.2%p, 0.4%p의 미미한 수준의 변동에 그쳤다.

세종시는 상대적으로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지난달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한 달 전(48.9%) 대비 7.2%p 줄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도 35.4%에서 45.2%로 9.9% 늘었다.

직방 관계자는 "그동안 행정수도 이전 등 개발 관련 기대감이 시장에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후속 추진이나 구체적 실행이 가시화되지 않아 매수세가 다소 진정된 결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최근 관련 논의가 재차 언급되고 있지만, 실제 실행 여부나 시점이 명확하지 않아 시장 반응 역시 일정 기간 유동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거래 흐름의 차이는 6·27 대책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책은 주택담보대출 6억원 한도 제한과 소유권 이전 등기 전 전세대출 금지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다. 서울·경기 등 핵심 지역에서는 투자 수요는 물론, 실수요층까지 매수 부담이 커지고 관망세로 전환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되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줄고 있다는 점은 시장 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이는 단순한 공급량 부족이라기보다는 실수요층이 원하는 입지나 주택 유형이 적시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직방 관계자는 "정부도 시장의 공급 불안에 주목하며 이에 대한 정책 보완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도심 내 신규택지 확보, 정비사업 지원, 민간 참여 확대 등 수급 안정과 관련된 여러 방안들이 언급되고 있다"고 말했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