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24일 소해헬기(MCH) 시제기 초도비행 성공 기념 행사를 열며 경쟁력을 드러냈다.
KAI는 이날 경남 사천 본사에서 MCH 시제기 초도비행 기념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앞서 KAI는 지난 16일 MCH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행사에는 해군 항공사령관,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을 비롯해 IPT, 해군, 기품원, 감항기관 등 주요 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KAI는 행사에서 주요 내빈에게 개발 경과를 공유하고 레이저 기뢰 탐색 장비(ALMDS)가 장착된 MCH 시범비행을 진행했다. MCH는 2022년 12월 방위사업청과 계약 체결 이후 체계개발에 착수했다. 마린온을 기반으로 항전장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소해 임무장비를 탑재했다.
초도비행을 마친 MCH는 본격적인 비행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험평가를 거쳐 내년 하반기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개발이 완료되면 KAI는 세계에서 3번째로 소해헬기 개발에 성공하게 된다. 향후 해군은 소해헬기 대대를 창설하고 MCH를 본격 임무에 투입한다.
업계 안팎에서는 소해함만으로 작전을 수행해야 했던 해군의 기뢰위협 대응 능력과 독립작전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소해헬기는 기뢰작전에서 소해함보다 기동성이 우수하고 저공비행 능력을 활용해 함정이 접근하기 어려운 낮은 수심 기뢰를 탐지해 제거할 수 있다.
MCH에는 바다의 기뢰 제거 임무를 위해 레이저 기뢰 탐색 장비(ALMDS), 자율 수중 기뢰 탐색체(AUV), 무인 기뢰 처리 장비(AMNS) 등 첨단 임무장비가 장착된다. 동해, 남해, 서해 등 삼면이 바다인 한국의 다양한 수심과 해상환경에서의 기뢰 탐지·제거가 가능하다.
KAI 관계자는 "수리온 개발 성공 이후 다양한 파생형 헬기 개발을 이어오고 있으며, 소해헬기 개발로 국내 헬기 개발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서 입증할 수 있게 됐다"라며 "앞으로 남아있는 개발 일정을 차질없이 수행해 해군의 항공전력 강화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말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