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속 배터리 광물 공급망 불안…"아프리카 협력 확대해야"
  • 최의종 기자
  • 입력: 2025.06.24 06:00 / 수정: 2025.06.24 06:00
"전략적 접근·정부 지속 정책 필요"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아프리카 광물 확보 경쟁 속 주요국 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향 보고서를 냈다.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무협) 본사. /더팩트 DB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아프리카 광물 확보 경쟁 속 주요국 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향' 보고서를 냈다.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무협) 본사. /더팩트 DB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미·중 갈등 속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 공급망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이 차별화된 전략으로 아프리카와의 광물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아프리카 광물 확보 경쟁 속 주요국 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향' 보고서에서 아프리카가 리튬·코발트·흑연·망간 등 배터리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돼 있으며, 젊은 노동력이 많고 산업 육성 의지도 강해 주요국 진출 경쟁이 가속한다고 밝혔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대표적인 아프리카 자원 부국은 콩고민주공화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마다가스카르, 짐바브웨 등이다. 광물·글로벌 매장량 순위는 콩고민주공화국(코발트·1위), 남아프리카공화국(망간·1위), 마다가스카르(흑연·3위), 짐바브웨(리튬·7위)다.

중국은 2000년대 이전부터 외교부장 새해 첫 순방지로 아프리카를 선택하는 전통을 이어오는 등 아프리카와의 협력에 지속적으로 공을 들이고 있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RI)'를 통해 대규모 광물 인프라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은 '광물안보파트너십(MSP)' 등 다자 협력체를 통해 우방국과의 공동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속 가능성을 내세워 광물 수송 인프라인 '로비토 회랑(Lobito Corridor)'에 투자를 단행했다. 일본도 종합상사를 통한 현지 지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이 자본력·외교적 영향력에서는 미·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지만, 글로벌 배터리 제조 기술력을 바탕으로 견고한 전방 산업 공급망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아프리카와 광물 분야에서 상호보완적 협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광물 협력 증진을 위해 △자원 부국 중심 고위급 순방 확대 △가봉·남아공 등 자원 부국과 협의 중인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조속한 체결 △기술력·산업 경쟁력 바탕 동반 성장 협력 모델 추진 △정부의 장기적·연속적 광물 개발 지원 등을 제안했다.

박소영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배터리 산업이 중국 공급망 통제와 미국 탈중국 정책 강화 이중 리스크에 직면한 가운데 아프리카가 공급망 다변화 유력 대안이 될 수 있다"라며 "경쟁 심화 속 광물 협력을 위한 전략적 접근·정부 차원 정책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