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김태환 기자] 한국은행이 우리나라 올해 상반기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 근방에서 등락하는 등 안정세에 들어갔지만, 이미 높아진 물가 수준으로 인해 가계 부담이 여전히 높다고 분석했다. 주택시장의 양극화로 인해 집값이 높은 수도권 가구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는 점도 가계부담이 확대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18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을 통해 최근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한 평가, 올해 상반기중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을 점검 현황을 공개했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중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목표 수준 2.0% 근방에서 안정된 흐름을 나타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1.8%(전년동기비)에서 올해 상반기중(1~5월 기준, 이하 동일) 2.1%로 소폭 높아졌다.
월별로 보면 연초 2.2%에서 국제유가하락,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5월에는 1.9%까지 낮아졌다. 다만, 소비자들의 구입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된 생활물가 상승률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지속 상회하고 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1~3월 중 1%대 후반 수준에서 움직이다 일부 서비스 품목의 가격 인상으로 4, 5월 중 각각 2.1%, 2.0%로 소폭 높아졌다.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0.3%p 높아졌다. 이는 석유류 가격과 공업제품 중 석유류 제외가격, 서비스가격 등이 상승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 반면, 농축수산물 가격은 물가상승률 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
품목별 변동요인을 살펴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은 농산물 출하확대, 정부의 가격안정 노력 등으로 최근 상승률이 0%대 초반으로 둔화됐다. 반면, 공업제품석유류 제외가격은 가공식품 가격 인상 등으로 상승률이 1%대 후반 수준으로 높아졌다. 석유류가격은 1분기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으로 큰 폭 높아졌다가 4월 이후 하락 전환했다.
전기·가스·수도요금은 지난해 8월 도시가스요금 인상 이후 3%대 초반 수준의 상승률을 지속하고 있으며, 서비스가격은 공공서비스가 대학등록금, 개인서비스는 외식가격 인상 등으로 상승하면서 2%대 초중반의 상승세를 보였다.
한은은 앞으로도 물가 안정기조가 이어지겠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며 높아진 물가 수준이 가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 진단했다.
한은은 "상반기중 가공식품 및 일부 서비스가격이 인상된 점은 연중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낮은 수요압력 등이 이를 상쇄하면서 올해 하반기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모두 1%대 후반 수준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또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기를 거치며 높아진 물가수준은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그동안 농축수산물 가격이 높은 변동성을 보여온 데다, 최근 가공식품등필수재 가격이 인상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가 높고, 가공식품·외식물가는 생산비용 상승이 가격에 장기간 전가되면서 취약계층의 부담이 계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도권 집값 상승이 해당 지역 가계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한은은 "수도권 집값 상승으로 인한 주택시장 양극화도 수도권 가계의 주거비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라며 "물가수준, 부동산 시장 양극화와 같은 문제는 구조적인 성격이 커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공급여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 구조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