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지부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영진의 기습적인 구조조정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노조는 지난달 28일 제너럴 모터스 한국사업장(한국GM)이 발표한 '전국 9개 직영정비사업소 순차적 매각'과 '부평공장 일부 토지 매각' 방침을 두고 "노사 간 신의성실 원칙을 무시한 일방적 발표"라며 반발했다. 특히 발표 시점이 조합 창립 54주년 문화행사 사흘 전이자 2025년 임금교섭 상견례 당일이었다는 점에서 노조는 경영진의 행보에 문제를 제기했다.
노조에 따르면 경영진은 교섭 당일 본사와의 긴급회의를 이유로 교섭 불참을 통보했고, 같은 날 구조조정 계획을 언론에 발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회사가 수년간 흑자 기조를 이어온 가운데 3년간 누적 영업이익 3조9200억원, 순이익 2조2600억원을 달성하고, 올해 생산 계획 역시 43만대로 확대된 상황에서 또다시 구조조정을 운운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장 유휴 부지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신차 투입 및 미래차 전환을 위한 적극적 투자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또 한국GM이 최근 몇 년간 군산공장 폐쇄, 서울·동서울정비 부지 매각, 희망퇴직 실시 등 구조조정을 반복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확보한 공적자금과 자산 매각 대금, 수익의 사용처에 대해 "투명한 설명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GM은 지난 2018년 군산공장 폐쇄 당시 산업은행으로부터 공적자금 8100억원을 지원받은 바 있다.
이어 "20만명에 달하는 직간접 고용을 감안할 때 한국GM의 구조조정은 단순한 기업 결정이 아니라 산업·고용 전반에 미치는 사안"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GM 경영진이 이번 구조조정 시도로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무력화하거나, 2027년까지인 정부와의 재계약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 한다면, 이는 국민과 정부에 대한 기만"이라며 "노조는 국회의원들과 함께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고용 안정을 위해 모든 노력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교흥, 유동수,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 등이 함께 참여했다. 노조는 향후 관계 부처 및 국회와 연대해 구조조정 저지 및 지속가능한 경영 확보를 위한 행동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