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임금 낮춰서 이직…대기업 이동률 12%
  • 황준익 기자
  • 입력: 2025.06.04 13:34 / 수정: 2025.06.04 13:34
통계청, 2023년 일자리이동통계 결과 발표
중소→대기업 12.1%…중소→중소 82.6%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소기업 근로자 중 대기업으로 이동한 비율은 12.1%로 집계됐다. /통계청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소기업 근로자 중 대기업으로 이동한 비율은 12.1%로 집계됐다. /통계청

[더팩트|황준익 기자] 근로자 10명 중 4명은 이직 후에 오히려 임금이 깎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한 직원은 10명 중 1.2명에 불과했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소기업 근로자 중 대기업으로 이동한 비율은 12.1%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간 이동은 82.6%로 대부분은 동일한 기업 규모 내에서 재취업했다. 반대로 대기업 근로자가 중소기업으로 이직한 경우는 6.1%에 불과했다.

이직 후 임금 흐름을 보면 임금이 더 높은 일자리로 이동한 경우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60.7%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여성(62.6%)이 남성(59.3%)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이동한 근로자의 38.4%는 임금이 감소했다. 10명 중 4명은 월급이 깎인 채 일터를 옮겼다는 의미다. 젊을수록 임금 증가로 이동한 근로자 비중이 높았다.

다만 100만원 단위별 임금 구간 자체가 상승한 근로자 비중은 31.1%에 그쳤다. 특히 이동 전후 임금 차이가 '25만원 미만'인 경우가 17.5%로 가장 높았다.

산업별로 보면 일자리를 이동한 근로자 중 47.9%가 대분류 기준 같은 산업 내에서 이동했다. 건설업(71.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68.4%), 제조업(48.8%)에서 같은 산업 내 이직률이 높았다. 반면 전기·가스·증기업(6.4%), 예술·스포츠·여가업(12.4%), 광업(14.9%) 등은 동일 산업 내 이동률이 낮았다.

새로운 유입자 비중이 큰 산업은 숙박·음식점업(25.7%), 사업시설·지원업(17.0%), 건설업(15.3%) 등으로 나타났다.

2023년 등록취업자는 총 2614만5000명으로 전년(2605만7000명)보다 8만8000명(0.3%) 증가했다. 등록취업자는 4대 사회보험 등 공공기관에 신고(가입)된 행정자료를 활용해 파악된 임금 및 비임금 근로자를 뜻한다.

2022년 미등록에서 2023년 등록된 진입자는 364만6000명으로 26만5000명(6.8%) 감소했다 .기업체 간 이동자는 395만1000명으로 16만8000명(4.1%) 줄었다. 또 2022년에는 등록취업자였으나 2023년 미등록된 자는 355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21만4000명(6.4%) 증가했다.

매년 12월 기준으로 작성되는 '일자리 이동통계'는 사회보험, 국세자료 등 일자리 행정자료에 등록된 15세 이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다.

plusi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