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모든 연령층에서 소득 대비 소비 지출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이 10년 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은 노후 대비, 청년층은 소득 정체와 주거 부담 등의 이유로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1일 통계청의 2014년과 2024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발간한 '세대별 소비성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이 전 연령대에서 하락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73.6%였던 전체 평균소비성향은 2024년 70.3%로 3.3%포인트(p) 하락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69.3%에서 62.4%로 6.9%p 하락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50대와 70대도 2~3%p가량 하락했고, 30대 이하는 73.7%에서 71.6%, 40대는 76.5%에서 76.2%로 떨어졌다.
20·30대는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월평균 가처분소득과 소비금액 자체가 모두 줄었다. 이들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348만2000원에서 346만8000원으로, 소비 금액은 256만7000원에서 248만3000원으로 감소했다.
소비 항목별 비중에도 변화가 감지됐다. 지난 10년간 지출 비중이 증가한 항목은 보건(7.2%→9.8%), 오락·문화(5.4%→7.8%), 음식·숙박(13.7%→14.4%), 주거·수도(11.5%→12.2%) 등으로, 주로 건강·여가·외식 관련 항목이었다. 반면 식료품·음료(15.9%→13.6%), 의류·신발(6.4%→4.8%), 교육(8.8%→7.9%) 등 전통적 생필품과 교육 항목의 비중은 줄었다.
연령대별 소비 특성도 다변화됐다. 30대 이하는 식비 지출 비중이 3.9%p 감소한 반면 음식·숙박과 오락·문화 비중이 각각 3.1%p 늘었다. 40대는 헬스장, 스크린 골프 등 취미·운동 관련 소비가 증가했다.
50대는 뷰티기기, 홈 인테리어, 간편식 등이 주력 소비 품목으로 부상했다. 60대 이상은 의료 서비스뿐만 아니라 취미 활동 지출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보고서는 "소비 트렌드의 전환은 산업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출산율 하락의 결과로 중등교육을 받는 자녀수가 감소하면서 전 연령대에서 중등교육 관련 지출이 크게 감소했는데 교육산업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