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정다운 기자] 정부가 웨어러블기기(스마트워치 등) 시대에 대비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1824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웨어러블 기기 및 소형 정보기술(IT)에 활용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총 358억원을 투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에 탑재되는 스마트워치, 가상현실(VR)헤드셋, 무선이어폰, 스마트링 등의 배터리 경량화·고에너지밀도·고안전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화재 안전성 향상과 고에너지밀도 실현이 가능해 미래 배터리 시장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다.
산업부는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R&D) 풀라인업 완성을 위해 산화물계·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도 이어간다.
정부는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기판실장용 초소형 적층 세라믹 전고체 배터리’ 사업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내년까지 총 294억원을 투입한다.
인쇄회로기판(PCB)에 부착되는 저전력·고안전성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하며, 향후 전자기기 주 전원용 배터리의 전력 부하 감소로 전자기기 사용 시간 증가가 기대된다.
또 산업부는 중대형 배터리에 적합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지난해부터 ‘친환경 모빌리티용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 사업’을 시행 중이다. 산·학·연이 공동으로 R&D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사업비 1172억원을 투입한다.
이 배터리 기술이 개발되면 전기차의 화재 위험성이 감소하고 한 번 충전으로 1000킬로미터(km)를 주행할 수 있다.
윤성혁 산업부 첨단산업정책관은 "3개 유망 전고체 기술 개발이 완성되면 국내 배터리 산업의 초격차 기술 확보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전고체 외에도 나트륨·인산철 등 배터리 기술 투자를 적극 지원해나가겠다"고 밝혔다.
danjung638@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