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가공식품, 축산물, 외식물가 등의 상승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총력전에 나섰다. 추경으로 확보한 할인지원 예산 1200억원을 투입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2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농식품 물가동향 및 대응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조사 결과 지난해 같은 달보다 농축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0.8% 상승해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가공식품은 4.1%, 외식은 3.2%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인기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가공식품 가격 상승은 코코아·커피 등 국제 원재료 가격과 환율, 인건비·공공요금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식품기업의 원재료 구매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할당관세 적용 품목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이달부터 제과·제빵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계란가공품(4000톤)에 대해서도 할당관세를 적용받도록 해 할당관세 적용 식품원료를 연초 13개 품목에서 21개 품목으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또 중소식품기업에게는 원재료 구매자금(45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별도로 추진하고, 수입부가가치세 면세와 같은 세제·금융지원도 진행하고 있다.
외식은 식재료비·인건비·임차료·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전년보다 3.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식품부는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통한 외식업체의 배답앱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650억원을 활용해 공공배달앱(땡겨요·먹깨비 등 12개 앱)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만원 이상 3회 주문시 1만원 할인쿠폰을 지급하는 행사를 다음달 말부터 추진한다.
전년보다 4.8% 오른 축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국내 공급이 부족한 가공식품 원료육(돼지고기 1만톤)에 대해 할당관세(0%)를 적용해 공급량을 늘릴 방침이다. 5월 가정의달을 맞아 축산물 소비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축산자조금을 활용, 대형마트 등 주요 유통업체에서 할인행사를 추진해 소비자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농산물은 봄작형 채소류의 생산량 증가 등으로 전년비 1.5% 하락해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겨울배추 생산량 감소로 강세를 보였던 배추도 봄작형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돼 빠르게 안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시설채소류도 지난해 보다 낮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과일류는 현재 유통되는 2024년산 사과·배 출하량이 많아(5월 상순 전년비 사과 10.0%, 배 29.0%) 가격이 전년보다 낮은 수준이며 정부의 수급관리용 물량 공급(4~7월, 사과·배 각 2500톤) 여력도 충분하여 햇과일이 출하되는 7월까지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 정책관은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관계부처와 함께 강도 높은 조사와 처벌을 추진할 방침"이라며 "또 추경으로 확보한 할인지원 예산 1200억원을 가정의달, 여름 휴가철, 추석, 김장철 등 성수기에 집중적으로 투입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안정시키는 등 농식품 물가가 안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pep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