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강남구=이성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주요 기업인들의 '릴레이 면담'이 서울 강남구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하루 종일 이어지고 있다.
릴레이 면담은 30일 이른 아침부터 시작됐다. 가장 먼저 <더팩트> 취재진과 마주친 기업인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등 한화가(家) 3형제로, 이들은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뒤 오전 8시 40분쯤 조선 팰리스 호텔 내 스타벅스 매장에서 머무르는 모습이 포착됐다. 다만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어떤 이야기를 나눴나' 등 질문에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이후 여러 기업인이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기 위해 호텔을 방문했다. 다만 철저히 통제되고 있는 호텔 내 보안 구역을 통해 이동하면서 이들의 모습이 취재진 카메라에 담기진 않았다.
재계에 따르면 이날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트럼프 주니어와 만났다. CJ제일제당이 미국 식품 업체 슈완스를 인수해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CJ푸드빌이 냉동생지·케이크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등 현재 CJ그룹은 미국에서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은 아버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대신해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을 가졌다. 미국 시장에서 사업을 시작한 바이오 분야에 대한 협력을 논의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동빈 회장은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인도네시아 출장 일정을 소화 중이다.
이 외에도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에서는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글로벌 금융 시장 전반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점심 직전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했다. 네이버 측은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과 관련해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기업인들의 만남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노력으로 성사됐다. 트럼프 정부와의 소통을 위한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재계의 요청이 있었고, 정용진 회장이 평소 친밀한 관계인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하게 됐다. 앞서 정용진 회장은 지난해 미국에서 트럼프 주니어의 소개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고, 올해 초 대통령 취임식에도 참석한 바 있다.
트럼프 주니어는 JD 밴스를 부통령으로 추천하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세'로 언급되는 인물이다. 재계는 관세 이슈가 불거진 상황에서 트럼프 주니어와 국내 기업인들의 이번 만남이 향후 한미 간 통상 현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쏟고 있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밤 1박 2일의 방한 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