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문제 해결책으로 떠오른 AI…"규제 완화 뒤따라야"
  • 공미나 기자
  • 입력: 2025.04.24 00:00 / 수정: 2025.04.24 00:00
23일 국회서 'AI 통한 미분양 해결방안' 세미나 개최
"민간도 부동산 데이터 활용하도록 규제 풀어야"
2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AI 신기술 융합을 통한 주거 안정과 미분양 해결방안을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공미나 기자
2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AI 신기술 융합을 통한 주거 안정과 미분양 해결방안'을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공미나 기자

[더팩트 | 공미나 기자] 주거 안정과 미분양 해소를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다만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에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공이 협력하고 민간 기업도 관련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짚었다.

김선주 한국주거환경학회 부회장(경기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AI 신기술 융합을 통한 주거 안정과 미분양 해결방안'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실생활에서 주거 인프라가 불안정하다는 것을 느끼며 기술적 접근의 필요성을 체감했다"며 "수요와 공급의 엇박자로 인해 발생하는 주택 가격의 불안정성과 여기서 발생하는 미분양 문제를 신기술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제도와 법에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주택시장의 현황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나선 박용석 알투코리아부동산자문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택 시장은 현재 공급 감소에 따른 수급불균형과 미분양 증가 문제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분양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미분양 아파트는 2015년 6만1000호에서 2021년 1만7000호로 감소했으나, 올해 2월 기준 7만호를 기록했다. 미분양은 PF대출 부실을 유발하고 건설사 부도, 민간부문 주택공급 위축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스타트업 한국자산매입이 운용하는 '헷지했지'는 이날 AI 기술을 활용한 미분양 해소 대안으로 언급됐다. 헷지했지는 투자자의 자산을 분석해 시장 위험을 예측하고 AI 기반 헷지 전략으로 손실을 줄여주는 리스크 관리 서비스다. 아파트 청약 당첨자들에게 입주 시점에 취득원가로 아파트를 매도할 수 있는 매수청구권을 판매한다.

김종구 한국자산매입 대표이사는 "부동산 리스크를 소비자가 가져가며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미분양"이라며 "헷지했지 같은 AI 금융 플랫폼이 지렛대 역할을 해서 정상화 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금융기관·전통기업·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협력해 함께 움직일 때 주거안정 해법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한국자산매입과 같은 민간 기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부회장은 "부동산 시장은 양질의 데이터가 없고 사람의 심리라는 변수가 포함돼 있어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며 "신생 기업들이 어려운 과제에 도전해서 부동산 시장에 기여한다면 주거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기대했다. 다만 "안전한 분양가를 내놓은 아파트만 매입한다면 '리스크가 많은 미분양 주택은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가 의문"이라며 "공공과 제도적 개입을 통해 미비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용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연구원 시장연구부장은 "우리나라는 부동산 관련 민관 기업의 정보 점유율이 상당히 낮고, 대부분 정보가 분산돼 있고 공공이 관리하고 있다"며 "부동산 분야는 양질의 데이터를 만드는 게 개인정보보호법 등에 부딪혀 구조적으로 어려운데 정책 당국이 이를 열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현석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역시 "시장을 분석하는 툴이 다양해지고 예측력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며 "부동산 시장에 이러한 다양한 시도가 시장을 안정화하는 데에 기여하기에 이를 위해 시장 규제를 풀어주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mnm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