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은 높을수록 좋다?…공사비 급등에 조합원 '고심'
  • 황준익 기자
  • 입력: 2025.04.23 14:22 / 수정: 2025.04.23 14:22
잠실우성4차 32층→49층 추진, 조합원 반대 부딪쳐
공사비 증가와 공기 연장 부담, 분담금 확대 우려
서울 송파구 잠실우성4차 재건축 조합은 층수를 기존 32층에서 49층으로의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 /DL이앤씨
서울 송파구 잠실우성4차 재건축 조합은 층수를 기존 32층에서 49층으로의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 /DL이앤씨

[더팩트|황준익 기자] 아파트 높이를 두고 재건축·재개발 조합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그동안 대다수 조합은 초고층을 선호해 왔다. 랜드마크 단지로 자리 잡아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서다. 하지만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층수가 많을수록 조합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우성4차 재건축 조합은 층수를 기존 32층에서 49층으로의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

조합은 지난해 7월 시공사로 DL이앤씨를 선정했다. 당시 DL이앤씨는 32층 설계안을 제시했다. 이후 조합은 49층 설계변경을 검토해왔다. DL이앤씨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아크로' 적용과 함께 최고 층수를 높여 아파트 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지난달 8일 총회에서 32층과 49층 설계안을 두고 투표한 결과 49층은 절반을 넘지 못했다. 조합원들은 49층으로의 설계 변경시 높아지는 분담금과 사업 지연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한 조합원은 "49층으로 변경했을 때 공사비, 추가분담금, 사업 지연에 따른 이자비 상승 등을 추후 집값이 이를 커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사업시행인가까지 받은 상황에서 49층으로의 변경은 리스크가 크다"고 말했다.

건물이 높아질수록 건축 자재 양이 늘고 강도가 높아져 공사비는 늘 수밖에 없다. 인허가 절차도 층수가 올라갈수록 복잡해진다. 안전 기준도 강해진다. 특히 층수가 50층이 넘어가는 초고층 건축물은 피난 안전구역을 최대 30층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해야 한다. 조합 입장에선 이 공간만큼 분양 수익이 줄어든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자재비를 제외해도 초고층의 경우 엘리베이터 속도를 높이는 등 추가로 드는 비용이 생각보다 많다"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주공6·7단지 조합 역시 지난해 49층으로 재건축을 추진했지만 조합원들은 기존 안인 35층을 선호해 원안대로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았다. 공사비가 대폭 오른 상황에서 고층보다는 공사비 절감과 공사 기간 단축을 선택한 것이다.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재건축도 49층으로 높이려다 조합원 반대로 기존 35층으로 진행되고 있다.

서울의 한 재건축 조합장은 "서울에서 한강변 조망권이 아닌 지역은 분담금만 늘어날 뿐 초고층 메리트가 작다"며 "설계변경 대신 빠른 사업 진행과 낮은 분담금으로 거주를 원하는 조합원도 많다"고 말했다.

plusi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