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신한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앞으로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하면 특정 담당자뿐만 아니라 모든 임원에게 집단 책임을 묻는 방침을 시행한다.
22일 신한투자증권은 내부통제 이슈 발생 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 차감한다고 밝혔다.
신한투자증권의 이번 제도 도입은 올해 슬로건으로 건 내부통제 강화를 실천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표명된다. 특정 임원에게 한정하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내부통제 이슈가 발생하면 모든 임원들에 부담을 가중해 집단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10월 1300억원대 상장지수펀드(ETF) LP 손실을 내면서 최고경영인(CEO)을 교체하고 올해 1분기까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또한 부서 평가도 내부통제에 대한 평가 비중을 대폭 확대하는 등 내부통제 중심의 평가로 전환한다. 내부통제가 미흡하면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 최저가지 하향할 수 있도록 강화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내부통제 관리를 잘한 조직이나 직원에게 포상도 주어진다. 연말 성과우수 부서와 직원을 포상하는 업적평가 대회에서도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분이 신설됐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금융기관에게 고객의 신뢰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자산이다. 이번 비상경영체제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에 직접 연결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며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