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두 그룹은 21일 서울 강남구 현대차그룹 사옥에서 현대차그룹 한석원 부사장(기획조정본부장),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사장(미래전략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그룹 간의 철강·이차전지소재 분야 등 포괄적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MOU)'을 진행했다.
이번 MOU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세계 최고 수준의 미래차용 강재 및 이차전지 소재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완성차 톱3 기업으로서 맞춤형 고급소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전동화 전환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철강 분야에서는 글로벌 합작투자와 탄소중립 전환을 중심으로 협력을 추진한다.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투자에 참여하며 북미 시장 진출 확대와 현지화 기반을 다진다.
총 58억달러가 투자되는 현대차그룹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원료부터 제품까지 일관 공정을 갖춘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로,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완공 후에는 연간 270만톤 규모의 열연 및 냉연 강판 등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 주요 자동차 생산 거점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및 기아 조지아 공장을 비롯해 미국 등의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고품질 자동차 강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포스코그룹은 북미 철강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차전지소재 분야와 관련해선 포스코그룹은 리튬, 양극재, 음극재 등 밸류체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대차그룹과 협력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이후의 글로벌 전기차 수요에 선제 대응한다. 양사는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 개발 등에서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제휴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체제 이후 추진해 온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이차전지소재 시장 변화 대응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지난해부터 논의돼 왔다.
이주태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 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포스코그룹과의 업무 협약을 통해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지속 가능한 성장 및 전동화 리더십 확보의 토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