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설'에 조직 다독이기 나선 한국GM…'경영설명회' 추진
  • 최의종 기자
  • 입력: 2025.04.18 10:19 / 수정: 2025.04.18 10:42
콜로시 부사장 "철수설 등 '루머'에 무대응"…올해 생산량 2.1만대↑
제너럴모터스(GM) 한국사업장(한국GM)이 직원들을 상대로 경영설명회를 열며 조직 정비에 나선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3월 쉐보레 신촌 대리점을 방문해 카매니저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판매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 뒤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한국GM
제너럴모터스(GM) 한국사업장(한국GM)이 직원들을 상대로 경영설명회를 열며 조직 정비에 나선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3월 쉐보레 신촌 대리점을 방문해 카매니저들의 노고를 격려하고 판매 향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 뒤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한국GM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으로 한국 시장 철수설이 불거졌던 제너럴모터스(GM) 한국사업장(한국GM)이 직원들을 상대로 경영설명회를 열며 조직 정비에 나선다. 신차 생산을 추가 배정하며 철수설 진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8일 <더팩트>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GM 경영진은 이르면 이달 말, 늦으면 내달 직원들을 상대로 '경영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경영진은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등을 상대로 경영설명회를 열고 최근 불거진 철수설을 일축하며 조직을 다독일 전망이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대표이사 사장이 직접 경영설명회에 참여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달 초 노조가 진행한 간부합숙수련회에서 설명회를 진행하는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일정상 무산됐다.

경영설명회는 비자레알 사장과 담당 임원 등이 사전에 질문을 받은 뒤 답변하는 형식으로 진행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다음 달 말 또는 오는 6월부터 임금협상이 시작되는 만큼 그 전에 경영설명회가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뒤 벌이는 '동맹 없는 관세' 정책으로 자동차 산업 타격이 큰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25% 품목 과세를 부과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뿐만 아니라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GM이 받을 영향도 상당하다.

한국GM은 지난해 인천 부평공장과 경남 창원공장 등에서 생산한 49만9559대 중 41만8782대(약 83.8%)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트레일블레이저와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말 가동하기 시작한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필두로 현지 생산량을 120만대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현대제철은 미국 루이지애나에 제철소를 건설할 예정이다.

한국GM도 관세전쟁 이후 노사가 함께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안규백 한국지엠지부장과 김종수 창원지회장 등 노조 관계자는 지난달 미국 GM 본사를 방문했다. 이들은 마이크 페레즈 북미 GM 생산 및 노사 관계 총괄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GM 본사에 신차와 친환경 미래차 확보 등을 요구한 것으로 파악됐다. GM 본사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한국GM은 올해 한국 생산 물량을 2만1000대 늘릴 계획이다. 본사 차원에서 중요한 글로벌 생산 기지로 인식하는 것을 보여준 셈이다.

한국GM은 통상 노조와 반기·중장기 생산 계획을 협의해 왔다. 올해는 매월 협의를 벌이다 지난 15일 부평공장 증산 계획을 알린 것으로 파악됐다. GM 부평공장 연간 생산능력은 25만대다. 당장 다음 달부터 5000대를 추가 생산할 예정이다.

구스타보 콜로시 한국GM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지난 16일 경기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개최된 GM 고급 브랜드 캐딜락 '더 뉴 에스컬레이드' 출시 행사에서 "(철수설과 같은) 추측성 루머에 대응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며 "한국 전략을 지속 실행할 것"이라고 했다.

윤명옥 한국GM 최고마케팅책임자(CMO) 겸 커뮤니케이션 총괄 전무는 "GM은 추측성 루머에 대응하지 않는 것이 방침이다. 부평공장과 창원공장에서 사업이 정상적인 상태로 가동되고 있다"며 "(2만1000대 생산은) 수요에 맞게 공급하는 지극히 정상적 생산량"이라고 강조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