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지난달 서울과 세종의 아파트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올해 1월 2만6050건에서 2월 3만8252건, 3월 4만4181건으로 3개월 연속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거래총액도 1월 11조8773억원에서 2월 20조3028억원, 3월 23조2192억원으로 꾸준히 확대됐다.
3월 거래량은 1월 대비 약 1.7배, 거래액은 2배 가까이 늘었다.
수도권은 3월 한 달간 아파트 거래량이 총 2만1828건, 거래총액은 17조199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의 거래량이 7369건, 거래총액이 9조4947억원으로 1월 대비 2.3배 급증했다.
이는 올해 초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논의가 시작된 데다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맞물리며 매수 심리가 실제 거래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남구가 589건으로 가장 거래량이 많았고, 강동구(518건), 성동구(491건), 노원구(470건), 송파구(452건), 영등포구(445건), 동작구(442건), 마포구(421건) 등이 뒤를 이었다.
1월 대비 3월 거래량이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양천구(100→417건)였다. 강남구(192→589건), 종로구(19→58건), 동작구(145→442건), 강동구(175→518건) 등의 순으로 거래량 증가폭이 컸다.
비수도권 3월 거래량은 2만2353건으로 1월 대비 약 47% 늘었다. 거래총액은 6조원으로 50% 상승했다.
특히 세종시 3월 아파트 거래량은 687건으로 1월 대비(266건) 대비 2.6배, 거래총액은 3510억원으로 2.8배 증가했다. 가격 조정 이후 저가 매물이 소화된 영향과 함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기대감이 거래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가격 조정,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일부 규제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며 그간 관망세였던 수요가 1분기 움직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4월 초 들어 시장은 다시 숨 고르기 양상을 보여 2분기 흐름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