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정책 '시계제로' 상태...원전 생태계 또다시 동력 잃을까
  • 장혜승 기자
  • 입력: 2025.04.14 11:25 / 수정: 2025.04.14 11:25
尹 정부 원전 생태계 회복 로드맵 '올스톱'
원전 건설 규모 축소
한화솔루션·OCI홀딩스 수혜 가능성
윤석얼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실시가 확정되면서 에너지 정책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1월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서 열린 3호기 가동식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얼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실시가 확정되면서 에너지 정책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1월 1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현장에서 열린 3호기 가동식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

[더팩트ㅣ장혜승 기자] 윤석얼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실시가 확정되면서 에너지 정책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윤 전 대통령이 드라이브를 걸던 원전 생태계가 동력을 잃고 재생에너지 사업이 활기를 띨 가능성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6월3일 조기대선 확정으로 향후 에너지 정책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되면서 업계는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먼저 윤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친원전 정책으로 원전 생태계가 활기를 띠고 관련 산업 회복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됐으나 향후 새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수정될 가능성이 생겼다.

지난 2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확정된 지 두 달 만에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변수가 발생한 점도 이같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당초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는 오는 2038년까지 신규 대형원전 3기(4.2MW)를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계획이 담겼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기류가 바뀌었다.

우선 제11차 전기본이 국회 보고를 거치는 과정에서 신규 원전 건설 목표가 3기에서 2기로 축소됐다. 야당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원전은 축소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늘었다.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은 2030년 78GW에서 2038년 121.9GW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업계 역시 원전 사업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었다. HD현대와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개발 기업 테라파워와 손잡고 SMR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최근 미국 SMR 기업 테라파워 창립자 빌 게이츠와 만나 SMR 개발 및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두산에너빌리티도 SMR 파운드리(위탁생산 전문기업) 업체를 목표로 미국 3대 SMR 기업인 엑스에너지, 테라파워, 뉴스케일파워와 모두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윤석얼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실시가 확정되면서 에너지 정책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
윤석얼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대선 실시가 확정되면서 에너지 정책도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시계제로 상태에 빠졌다.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

특히 두산에너빌리티가 참여하고 있는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 최종 계약에 이목이 쏠린다. 체코 정부는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을 주축으로 한 '팀코리아'를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두산에너빌리티도 주기기 제작을 위한 본계약 체결 이후 본격 사업 준비에 착수했다. 이달 말 최종 계약이 성사되기 전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만큼 일각에서는 원전 수주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다만 두산에너빌리티는 체코 원전 수주와는 별개로 주기기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럽 등 주요국 원전 시장에서 수익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계획이다. 지난 1월에는 자회사인 두산스코다파워가 체코 프라하 증권 거래소에서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면서 유럽 원전 시장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도 했다. 아울러 원전 외에도 수소와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사업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민주당이 그간 중시한 '탈원전' 기조와 다른 기류가 엿보인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월 국회에서 열린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위한 에너지믹스(원자력에너지와 재생에너지, 화석연료 등의 발전 비중 조정) 대책 간담회'를 마친 후 "(탈원전을 강조했던) 문재인 정부 때와 상황이 다르다"라며 "원전을 포함한 모든 에너지에 대해 다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향후 집권할 정부의 성향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진보정당 집권 시 재생에너지 사업이 활기를 띨 것이라는 주장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태양광 설치 용량을 늘려 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했다. 이에 한화솔루션, OCI홀딩스 등 관련 기업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기대선 실시 등 정국 변화가 당장 사업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여러 예측들이 나오지만 예측일 뿐이고 속단하긴 이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zza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