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허주열·최의종·황지향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하는 '상호관세' 효력이 9일부터 발효되는 가운데 환율까지 급등하면서 국내 산업계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일부 산업은 수출 확대와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원자재 비용 상승 등에 따른 수익성이 하락하는 업종도 있어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9일 전 거래일보다 10.8원 오른 1484원으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1480원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주간 거래 개시 초기에는 1486원까지 오르면서 장중 기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고환율 지속으로 인한 영향은 산업군별로 다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올해 초 주요 업종별 협회 12곳과 함께 '고환율 기조가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도로 표현한 결과를 보면 △조선 △자동차 △기계 산업은 '대체로 맑음' △바이오 △반도체 △배터리 △철강 △석유화학 △정유 △디스플레이 △섬유패션 △식품산업은 '흐림'으로 나타났다.
고환율로 인한 대표적인 수혜 업종으로 분류되는 조선업은 지난해 1~3분기 전체 수주량 중 96.3%가 해외 수출 물량일 만큼 수출 비중이 크다. 또한 계약 후 대금의 상당량이 선박 인도 시점에 달러로 결제되어 환율 상승으로 인한 차익이 기대된다.
다만 조선사별로 환헤지 비중이 다르고, 고환율로 인해 해외기자재 사용률과 라이선스 비용 상승으로 환율 상승 효과가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고환율 때 조선업은 수혜 종목으로 주목을 받지만, 실제로는 환헤지를 하기 때문에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조선사마다 환헤지 비중이 다른데, 기본적으로 고환율 기간 동안 계약을 해야 환율 이익을 볼 수 있는데 지금은 그런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국내 생산의 67%를 수출하는 자동차산업도 환율 상승 시 일부 완성차는 단기적으로 영업이익이 개선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주요 완성차업체의 경우 글로벌 생산의 50% 이상을 현지 생산하는 체계를 갖춰 환율 변동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면서도 "고환율 장기화 시 오히려 부품수입가·에너지 비용·해상운임비 상승 등 원가 상승 압박으로 환율상승의 긍정적 효과가 반감되는 한편 부품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고환율로 인한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력 약화로 인한 자동차 내수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계산업은 수출 위주의 산업구조, 수입 원자재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는 특성에 따라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이 기대된다. 단기적으로 이들 산업군은 이득이 예상되지만, 고환율이 장기화될 경우 원가 상승에 따른 판매가 상향, 수요 시장 위축, 물류비 상승 등의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반면 가뜩이나 캐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배터리산업은 제조에 필요한 원자재인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이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수출한 배터리에 대한 환차익 이익은 기대할 수 있지만, 상승한 원가를 고스란히 배터리 가격에 반영하기도 어려운 업황이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원화 약세가 수출 단가에 긍정적인 면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소재나 원자재의 수입 비용이 올라가고 해외 투자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내부적으로 영향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산업은 고환율에 따른 제조원가 및 해외 투자비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수출 품목이고 달러 결제 비중도 높아 환율 상승에 따른 단기적 매출 증대 효과는 분명 존재한다"면서도 "반도체 분야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이 30% 수준이어서 생산 원가 증대, 해외 투자비 증대 부담으로 매출 증대 효과가 상쇄될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업 역시 원자재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므로 고환율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가격이 민감한 철강 제품은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 시황이 안 좋은 상황에서 관세로 인한 무역 장벽에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피해가 크다"며 "고환율로 수입 원가 부담이 커지는데, 수출 쪽은 막혀 있어 업계의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제약·바이오산업도 원료의약품 수입 의존도가 높고 해외 임상시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고환율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진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수출을 주도하는 바이오시밀러, 위탁개발생산 업체의 수출분에 대해선 환율 효과가 있기도 하지만 국내 기업들 대부분은 원료의약품 및 소재부품장비 수입 의존도가 높아 수입 원가가 상승하고, 해외 임상비용 상승 등 R&D 투자 비용이 증가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항공업계도 악재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오르면 유류비, 리스비, 이자 등 달러로 지출하는 비용이 많아 비용 부담이 커지고, 여행 심리 위축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입 통화 다변화나 파생상품 등을 활용해 위험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영향을 받는 산업계는 각 상황별로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실행하는 게 중요할 전망이다. 재계 관계자는 "당분간 고환율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각 기업이 고환율 파고에 휩쓸리지 않도록 환헤지 등 맞춤형 전략을 수립·실행하는 노력과 함께 환율 피해 산업에 대한 긴급 운영 자금 및 금융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 역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sense83@tf.co.kr
bell@tf.co.kr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