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정다운 기자] 중소기업이 도전적인 소재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금속 소재 등 약 300만건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한다.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소재 연구개발(R&D) 혁신을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공개한다고 8일 밝혔다.
앞서 산업부는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4개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약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가 풀리게됐다.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이 제고되고 데이터 기반 창업이 촉진될 전망이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제공된다. 현재 전국 8개 기관(10개소)이 지정됐다.
양 부처는 이날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도 개최했다.
간담회에서는 △AI 기반 소재 연구의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데이터 기반 소재 R&D 생태계를 강화하고,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 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며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소재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다. 한 번 채택된 소재는 대체가 쉽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는다. 장기간 연구의 결과물인 소재 데이터(레시피)는 부가가치의 원천으로서, 소재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면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도 도전적인 소재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danjung638@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