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부진 여파가 생각보다 크지 않고, 상반기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25' 시리즈가 판매 호조를 보인 영향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15%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매출은 9.84% 증가한 79조원으로 나타났다.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돌았다.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5조1000억원대였다.
당초 시장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 사업에서 2조원 이상 이익을 내더라도 시스템LSI, 파운드리의 대규모 손실로 부진한 성적을 피할 수 없다는 설명이었다. 이날 사업부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D램 출하량 선방에 따라 예상 밖 성적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S25' 흥행 성공 등 모바일경험(MX)사업부의 성과는 뚜렷할 것으로 관측된다. 4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갤럭시S25'는 지난 2월 출시 후 '갤럭시' 시리즈 중 최단기간 만에 국내 판매 100만대를 넘어선 바 있다.
삼성전자의 선전은 실적 발표 직전 증권가 보고서를 통해 감지되고 있었다. 최근 증권사들은 삼성전자 전 사업부 실적이 컨센서스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을 잇달아 내놨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불과 몇 주 전까지만 해도 시장 분위기는 부정적이었으나, 재고 조정과 공급 축소 등의 영향으로 가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영업이익이 연이어 뒷걸음질 치는 상황을 면했다는 점이 긍정적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2분기 10조443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한 이후 3분기 9조1834억원, 4분기 6조4927억원을 기록했다.
더욱 긍정적인 부분은 향후 반도체 전망이 밝다는 점이다. 1분기 최저점을 찍고 2분기부터 업황 개선 등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분기부터 메모리 상승 사이클 진입에 따른 수급 개선과 가격 상승이 기대된다"며 "분기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4분기까지 증익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사는 HBM 사업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겠다는 각오다. 삼성전자는 HBM 시장 초기 대응에 실패해 SK하이닉스에 시장 우위를 내줬고, AI 훈풍을 좀처럼 누리지 못했다.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은 지난달 19일 진행된 삼성전자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올해 2분기, 늦어도 하반기부터 HBM3E 12단 제품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HBM4, 커스텀(맞춤형) HBM 등 신시장에서 지난해 HBM3E와 같은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차질 없이 계획대로 개발·양산하겠다"고 말했다.
걸림돌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경영 불확실성이다. 삼성전자는 주요 제품 생산 및 수출을 다양한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관세 부과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반도체 부문이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품목 관세 대상으로 지속해서 거론되고 있다.
류영호 연구원은 "반도체 관세는 미국에도 불리해 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반도체 업체들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나 간접적인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로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라며 "투자자들과의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문의 사항을 사전에 접수해 이달 말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답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