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기업구조 개편과 금융회사 건전성이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5년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주식시장, 채권시장의 변동성이 가속화되고 내수 부진 지속,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등이 계속된다"며 "IPO 개선, 의결권 행사 공시시스템 구축 등 주주가치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을 지속하겠다.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훼손하는 각종 불공정거래, 사익추구 행위 등에 대한 엄단기조를 견지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IT 부문에서의 사고는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다"며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이 책임성·소비자 보호와도 조화를 이루도록 혁신금융을 위한 인프라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규율체계 확립 또한 소홀히 하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주가 급변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규모 불완전판매, 금융사고 등으로 금융권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내부통제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중소금융권의 지역과 서민에 대한 자금공급 역할 확대, 보험개혁 과제의 일관된 추진 등 금융권 본연의 역할·기능 회복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전체회의는 자문위원을 포함한 약 120여명이 참석했다. 디지털금융감독 방향과 금감원 리스크 대응현황·과제에 대한 주제발표도 이어졌다. 발표는 이종오, 황선오 금감원 부원장보가 각각 맡았다.
이 부원장보는 "규제 개선과 엄정한 규율의 균형을 통해 AI데이터 혁신금융, IT안전성.보안, 전자금융업, 가상자산 분야의 혁신적이고 안전한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황 부원장보는 미국 관세정책에 따라 글로벌 무역갈등 가능성을 전망하며 "가계부채 확대 우려, PF 정리 지연 우려, 해외 대체투자 부실화 가능성, 중소금융 건전성 개선 지연 등 중요 현안과제를 철저하게 이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