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정부가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연구개발(R&D)를 강화한다. 파급효과가 큰 전략품목의 핵심기술 국산화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동물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국내·외 수요는 축산물 소비 증가, 가축전염병 지속 발생, 반려동물 양육 증가, 원헬스(One Health) 중요성 부각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국산 제품은 제약 선진국의 오리지널 제품과 신흥국의 중저가 제품 사이에서 입지가 축소되고 있어 신약 개발 핵심기술과 품질 경쟁력 확보 없이는 산업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동물용의약품 산업이 신약 등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 중심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나아가도록 이번 발전 방안을 마련했다.
농식품부는 2035년까지 산업 규모를 3배(2023년 1.3조원→2035년 4.0조원), 수출 규모는 5배(2023년 0.3조원→2035년 1.5조 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R&D 지원 강화 △규제 혁신 △수출지원 프로그램 등 확대 △품질 및 안전성 강화 등 4대 전략을 세웠다.
먼저 '대규모 R&D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해 신약 개발 핵심기술 확보와 전략품목 육성을 가속화한다.
다음달부터 산업계·학계 등 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동물용의약품 R&D 추진기획단'을 운영해 미래 혁신형 연구개발 추진 전략으르 수립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개발이 시급한 국가 재난형 가축전염병 대응 백신,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반려동물용 의약품, 인공지능(AI)과 바이오 기술을 결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등과 같이 개발 성공 시 파급효과가 큰 전략 품목과 이와 연관된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보다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전문기업 등에 신약 후보물질 발굴, 임상 및 비임상시험, 시제품 생산 등 신약 개발 전 주기를 지원하는 경북 포항공공 바이오파운드리와 전북 익산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 등 연구개발(R&D) 인프라를 구축해 기업의 신약 개발 투자에 따른 위험부담을 분산시키면서 원천기술 확보와 기술사업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을 위해 인허가 제도를 개선하고 지원 기반도 정비할 계획이다.
신약 품목허가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개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안전성·유효성 자료에 대한 사전검토제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개발 품목의 빠른 시장 진입을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또 전략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품목을 패스트트랙 품목으로 지정해 임상시험 설계를 지원하고 심사 절차를 간소화한다.
국내에서 임상시험이 어려웠던 고위험병원체 백신·치료제 개발 촉진을 위해 해외 임상시험 자료를 인정하고, 동물 희귀질환 의약품의 인허가 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등 신약 개발 저해 요소를 지속 개선할 계획이다.
유망 수철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원료구입, 임상시험 등 수출 품목 개발 및 수출국 인허가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고 국제 협력 채널을 강화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돕는다.
동물용의약품 기업에 투자가 가능한 '그린바이오펀드' '반려동물 연관산업 전용 펀드' 등 농식품 펀드와 정책 금융 지원을 통해 민간 자본 유입을 활성화 한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핵심인 동물용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국제기준에 부합시키기 위해 내년까지 제도 기반을 마련한다.
2029년까지 현행 GMP 준수 재평가 준비 기간을 거친 후 2035년까지 GMP 선진화에 필요한 항목들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번 산업 발전 방안을 통해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크게 성장시키고,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pep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