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라진 기자]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를 하루 앞두고 변동성이 증폭된 가운데 혼조 마감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우려를 키우는 경제 지표들이 발표됐으나, 기술주 종목들이 약진하며 시장을 떠받쳤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3%(11.80포인트) 내린 4만1989.9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8%(21.22포인트) 오른 5633.0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87%(150.60포인트) 오른 1만7449.89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2일 오후 4시(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발표 즉시 관세 효력이 시작될 전망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3명의 소식통을 인용, 백악관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 대부분에 20% 관세 부과를 하는 초안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시장 예상치(49.5)와 전월치(50.3)를 모두 하회했다. 수치가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 밑이면 경기 위축을 나타나는데, 3월 PMI는 3개월 만에 위축 국면으로 전환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2월 구인 건수는 756만8000건을 기록, 직전월(776만2000건)보다 19만4000건 감소했다. 아울러 시장 전망치인 769만건도 하회했다. 이에 노동시장이 얼어붙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종별로는 소비재가 상승했다. 또한 이날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M7) 전 종목은 강세로 장을 마쳤다. 테슬라가 3.59% 올랐고, 엔비디아 1.63%, 알파벳 1.57%, 아마존 1.0%, 메타 1.67%, 마이크로소프트 1.81%, 애플 0.48% 상승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