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 높아…생존에 직결"
  • 최의종 기자
  • 입력: 2025.04.02 06:00 / 수정: 2025.04.02 06:00
소득 1분위 23.2%…5분위 20.6%
저소득층일수록 체감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새롬 기자
저소득층일수록 체감 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새롬 기자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다는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경협은 최근 10년간(2014년~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소득 5분위 20.6%보다 2.6%p 높았다고 2일 밝혔다. 2분위는 22.4%, 3분위는 21.7%, 4분위는 20.9%를 기록했다.

연도별로 보면 최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2022년을 제외하고 1분위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코로나19 직전부터 저소득층인 1분위 체감물가가 5분위보다 지속해서 높게 유지됐다는 것이 한경협 설명이다.

소득 1분위와 5분위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을 살펴보면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 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0%), 보건(12.6%)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지출 비중이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 집중된 셈이다.

2014년부터 10년간 저소득층이 주로 소비하는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한다. 한경협은 식료품 물가 상승이 저소득층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소득 5분위는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비교 기간 해당 품목 물가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21.2%)을 크게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라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 규제를 개선하며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