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이중삼 기자]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들이 수도권에 몰리고 있다. 최근 2년 새 수도권 아파트 거래가 큰 폭으로 증가해서다. 거래 비중은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지역별 아파트매매 거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 49만 2052건 중 45.4%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29.2%)과 2023년(40.5%)에 비해 크게 오른 수준이다.
거래량 절대 수치를 비교해도 차이는 두드러진다.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022년 8만 7299건에서 지난해 22만 3340건으로 2년 만에 약 2.5배 치솟았다.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같은 기간 1.2배 증가에 그쳤다.
서울지역 지난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5만 8282건으로 전년 대비 59.9% 급증했다. 이는 2020년(10.0%) 이후 4년 만에 최고 비율이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한 재건축 단지 분양 물량이 투자 수요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경기는 13만 3887건으로 전년 대비 28.3% 늘었다. 남양주시(6344건)·용인시(1만1832건)·화성시(1만1988건)가 전체 경기 거래의 22.5%를 차지했다. 인천은 계양구 47.6%, 미추홀구 41.4%, 부평구 24.0% 올랐다.
올해 들어서도 수도권 아파트 쏠림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 1월 아파트 거래량의 44.1%, 2월 거래량의 45.0%가 수도권에서 이뤄졌다. 아파트 신규 공급은 지난 2월까지 930가구가 공급되는 데 그쳤지만, 4월 이후 수도권 공급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투자 측면에서 수도권 아파트는 거래가 많아 환금성이 높고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안전자산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경제적으로 불안한 시국이라 올해는 안전자산 쪽으로 쏠림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