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주)한화 지분 22.65% 중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며 오해 해소 작업에 나섰다. 승계도 사실상 일단락됐다.
한화는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을 장남 김동관 부회장과 김동원 사장(2남), 김동선 부사장(3남)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31일 공시했다. 증여 후 한화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이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 지분 100%를 갖고 있어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된다. 경영권 승계가 완료된 셈이다.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회장직을 유지하며 전문적인 경영 노하우와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을 계속한다는 입장이다.
한화그룹은 김 회장이 경영권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히 해소하고 본연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지분 증여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와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한화그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가 '투자 실기는 곧 도태'라는 생존 전략에 따른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도 승계와 무관한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라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3월4일~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한화그룹은 상속세와 증여세법에 따라 과세된 세금은 정도경영 원칙에 따라 투명하고 성실하게 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006~2007년 김 회장이 한화 지분 일부를 증여했을 때 세 아들은 1216억원 증여세를 냈다. 김 회장은 지난 1981년 당시 역대 최대 수준인 277억원을 상속세로 냈다. 과세기준 가격은 한달 후인 4월 30일 기준 전후 각각 2개월 주가 평균 가격으로 결정된다.
한화그룹은 상장회사 내부자 주식 거래 사전 공시제도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주식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지배구조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고, 국가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한 대승적 결단"이라며 "지분 증여로 승계가 완료되면서 대규모 해외 투자 목적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억측과 왜곡은 불식될 것"이라고 말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