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문은혜 기자] 최근 입점업체 정산 지연 문제를 일으킨 국내 1위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국 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최형록 발란 대표이사는 31일 입장문을 통해 "올해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당초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며 "이런 가운데 파트너사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다만 최 대표는 이전에 회생절차에 들어간 다른 플랫폼과는 구조적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발란은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며 "또한 이미 지난 3월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생절차를 통해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되면 빠르게 정상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최 대표의 설명이다.
발란은 회생절차와 함께 M&A를 병행하기 위해 이번 주 안으로 매각 주관사를 지정해 본격적으로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최 대표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향후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조기에 인수자를 유치해 자금 유입을 앞당김으로써 파트너 여러분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 대표는 "회생은 채권자를 버리는 절차가 아니다"라며 "회생절차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정산 안정화 → 관계 회복 → 플랫폼 정상화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결과를 반드시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