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국내은행 보통주자본비율 13.07%…"고환율·보호무역주의 영향"
  • 이선영 기자
  • 입력: 2025.03.31 09:40 / 수정: 2025.03.31 09:40
금감원, 2024년 말 BIS자본비율 발표
금융감독원이 31일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을 발표했다. /더팩트 DB
금융감독원이 31일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을 발표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국내은행들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3.07%로 전 분기말(13.34%)에 대비 0.26%포인트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31일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 은행들의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각각 14.37%, 15.58%로, 전 분기 말 대비 각각 0.28%포인트, 0.26%포인트 하락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7%로 전 분기 말 대비 0.03%p 낮아졌다.

금융당국이 정하고 있는 규제비율은 보통주자본비율 8.0%, 기본자본비율 9.5%, 총자본비율 11.5%, 단순기본자본비율의 규제비율은 3.0%다. 지난해 5월부터 경기대응완충자본 1%가 더해지며 보통주·기본·총자본비율 규제비율이 상향 조정됐다.

모든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웃돌며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씨티·SC·카카오가 16.0%를 웃돌았고, 산업은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SC·카카오·토스 등이 14% 이상, KB·하나·신한·수출입·케이 등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 분기 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하락한 은행은 SC(-2.81%포인트)·카카오(-1.27%포인트)·농협(-0.68%포인트) 등 12곳이었다. 반면 토스(+0.29%포인트), 케이(+0.26%포인트), 우리(+0.18%포인트), 하나(+0.05%포인트) 등 4개 은행은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회복 지연,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어 자본여력을 계속 높여갈 필요가 있다"며 "금융여건이 악화해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