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은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기술과 개방형 생태계 전략을 제시하는 개발자 콘퍼런스 'Pleos(플레오스) 25'를 개최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국내외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SDV 핵심 기술과 차세대 차량용 앱 생태계 구축 방안을 공개했다. 연사를 맡은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은 "플레오스는 차량을 포함한 모든 이동수단이 스스로 운영되고 지속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라며 "사용자 중심의 이동 경험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Pleos'는 라틴어로 '더 많다'는 의미의 'Pleo'와 운영체제(OS)의 합성어로 차량 및 모빌리티 전반의 기술적 진화를 촉진하겠다는 현대차그룹의 비전을 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행사에서 SDV 기술의 핵심 구성요소인 차량 제어 운영체제 'Pleos Vehicle OS'(플레오스 비히클 OS)와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Pleos Connect'(플레오스 커넥트)를 공개했다. 플레오스 비히클 OS는 기존 대비 제어기를 약 66% 축소한 고성능 차량용 컴퓨터(HPVC)와 존 컨트롤러 기반의 새로운 E&E 아키텍처를 통해 소프트웨어 확장성과 OTA(무선 업데이트)를 지원한다.
플레오스 커넥트는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OS(AAOS)를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유사한 사용 환경(UI·UX)을 제공하며, 음성 기반 생성형 AI인 'Gleo AI'를 탑재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그룹은 이 시스템을 2026년 2분기 출시되는 신차부터 적용해 2030년까지 약 2000만대에 탑재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SDV 고도화 로드맵도 발표했다. 2027년 말까지 레벨2+(플러스)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탑재하기 위해 8메가픽셀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 경량 AI 모델을 활용한 'Atria AI' 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 스마트폰급 저전력 NPU와 고성능 학습 인프라를 통해 자율주행 정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차량용 앱 개발과 배포를 지원하는 개방형 환경 'Pleos Playground'(플레오스 플레이그라운드)도 공개됐다. SDK, 디자인 가이드, API 문서, 샘플 코드 등 차량용 앱 개발 도구를 제공하고, 향후 앱 마켓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 내 앱 설치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행사에는 구글, 삼성전자, 네이버, 쏘카, 유니티 등 글로벌 주요 파트너사들도 참석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 연계해 차량과 스마트홈을 통합하는 비전을 소개했고, 구글은 현대차 SDV와 안드로이드 생태계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을 밝혔다. 우버는 현대차와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업 확장 방안을 공유했다.
송 사장은 "이제 자동차는 단순한 하드웨어가 아니라, AI 학습 기반의 러닝 머신이 돼야 한다"며 "모든 모빌리티가 전기나 수도처럼 유틸리티화되는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