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공미나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둔화했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약 1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넷째 주(3월 2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1% 올라 직전 주(0.25%)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값이 주춤한 것은 지난 19일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영향으로 보인다. 정부와 서울시는 24일부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있는 모든 아파트를 사고팔 때 지자체의 허가를 받도록 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일부 선호단지는 지속적인 수요 집중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고 있으나, 국지적인 급매 수요 및 관망심리 확대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송파구(0.79%→-0.03%)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아파트값이 하락으로 돌아섰다.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보다 하락한 것은 지난해 2월 첫째 주(-0.04%) 이후 58주 만이다. 신천‧잠실동 위주로 하락했다는 것이 한국부동산원의 설명이다.
송파구와 함께 토허제로 묶인 강남구(0.83%→0.36%), 서초구(0.69%→0.28%), 용산구(0.34%→0.18%)도 상승폭이 축소됐다. 아울러 토허제 해제 이후 반사이익을 누렸던 마포구(0.29→0.21%), 성동구(0.37→0.35%) 등도 상승세가 둔화했다.
노원구(0.01%→0.00%), 강북구(0.03%→0.00%), 동대문구(0.01%→0.00%), 중랑구(0.01%→0.00%)는 이번 주 보합 전환했다.
지난주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0.02%→-0.01%)은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축소되며 다시 하락 전환했다. 수도권(0.07%→0.03%)의 상승폭은 축소됐고, 지방(-0.04%→-0.04%)의 하락폭은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전북(0.02%), 울산(0.01%) 등은 상승, 경기(0.00%)는 보합, 대구(-0.13%), 인천(-0.07%), 제주(-0.06%), 광주(-0.06%), 경남(-0.05%), 대전(-0.05%) 등은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