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소비자 10명 중 7명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우수기업 제품 구매에 추가 비용을 지급할 의사가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한국리서치와 공동으로 실시한 '소비자의 ESG 행동 및 태도 조사' 결과라며 소비자 70% 이상이 ESG 우수기업에 추가 지급 의사 있다고 응답했다고 21일 밝혔다.
환경보호 우수 기업에 대해 응답자 73%가, 사회공헌 등 사회공헌 등 사회 분야 우수 기업에 대해 70%가 해당 기업 제품 구매에 추가 지불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50대와 60대는 타 연령대에 비해 추가 지급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ESG 활동을 잘하는 기업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환경보호에 적극적인 기업(35%), 이윤을 우선시하지 않고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23%), 소외계층 지원기업(13%), 경영·채용 등 기업 운영에 평등을 실천하는 기업(11%) 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절반 이상인 55%가 기업 ESG 활동에서 지속적인 활동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제품과 서비스를 구입할 때 친환경 여부가 중요한 척도인지 묻는 말에 산업별로 식음료와 생활용품 업종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여행·레저·항공, 전자제품은 비교적 낮았다.
연령별로는 60대가 모든 산업에서 타 연령대 대비 친환경 여부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20대가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가 친환경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은 친환경 마크 부착 여부가 55%로 가장 높았다.
ESG 활동과 관련한 소비자 행동의 적극성(소비자 ESG 종합점수, 4점 만점 척도)을 묻는 말에 전체 응답자 47%가 적극적으로 ESG행동을 실천한다고 했다.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동일 연령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종합점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거버넌스 분야에서 소비자가 선택하는 ESG 행동은 해당 기업 제품 불매 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매 원인 유형으로는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기업과 재무가 불건전한 기업, 차별하는 기업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불매경험 참여 경험은 64%로 기록됐다.
한경협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내수 침체로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어느 때보다 어렵지만, 기업이 지속해 성장하고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ESG경영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