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볼보자동차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SAP 센터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5'에서 AI 기반 가상 세계를 활용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및 새로운 안전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볼보는 해당 기술을 통해 ADAS의 성능을 높일 예정이다. 최신 차량에 탑재된 첨단 센서가 수집한 사고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AI 기반의 가상 현실을 통해 사고 상황을 재구성하여 사고 예방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에 소개된 기술 중 핵심은 '가우시안 스플래팅(Gaussian Splatting)'으로 불리는 첨단 컴퓨테이셔널 기법이다. 이 기술은 실제와 가까운 고해상도의 3D 장면과 피사체를 대량으로 생성하여 도로 위의 보행자와 교통 상황, 장애물을 자유롭게 변경하며 다양한 사고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다.
알윈 바케네스 볼보자동차 글로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총괄은 "가우시안 스플래팅 기술을 통해 희소한 실제 사고 데이터를 수천 가지 변형된 사고 시나리오로 확장할 수 있게 됐다"며 "이를 통해 사고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안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볼보는 이 기술을 통해 기존보다 더 빠른 속도와 규모로 다양한 교통 상황에 대한 안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매우 드물지만 잠재적 위험성이 큰 극단적인 사고 사례까지 효과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볼보자동차는 1970년대부터 자체 안전 연구팀을 운영하며 현장에서 사고 데이터를 수집해 경추 보호 시스템, 측면 충돌 보호 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 혁신 기술을 개발해 왔다.
최근에는 엔비디아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차세대 볼보 전기차 모델에는 차량 내외부 센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엔비디아 DGX 기반의 AI 슈퍼 컴퓨팅 플랫폼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규모 데이터를 신속하게 분석하고 안전 모델의 AI 개발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