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김태환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저탄소 전환 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 금융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기후리스크 관리체계 정착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18일 한국은행 콘퍼런스홀에서 열린 '한은-금감원 공동 기후금융 콘퍼런스'에 참석해 기후리스크 감독 방향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탄소감축에 대응했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경제 성장과 금융권 손실에 대한 효과 분석을 위해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다"며 "탄소중립을 위한 적극 투자가 무대응일 때보다 장기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더 오르고 금융권 손실도 더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탄소절감을 위해 애쓰는 기업들이 저탄소 전환 자금을 충분히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녹색 기준을 일부 충족하는 투자도 활성화되도록 올해 중 금융위, 환경부와 협의해 전환 금융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이라며 "녹색여신 관리지침에 따라 녹색기준을 충족하는 녹색여신은 인센티브를 부여해 전환 금융과 차별화하겠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방 소재 금융사,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지역내 중소기업이 제조 현장에서 필요한 탄소감축 관련 컨설팅 제공을 확대하고 저탄소 전환 설비 투자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또 "금융회사 경영진은 저탄소 전환에 대한 장기적 안목으로 선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권과 긴밀히 소통해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서가 금융 현장에서 구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