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이중삼 기자] 국토교통부는 도시 내 부족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 전담조직(TF)'를 구성했다고 7일 밝혔다.
TF는 생활물류 시설이 입지 부족 등으로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발생하고 있는 택배 운행거리 증가, 교통 체증·대기 오염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출범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1인당 택배 이용량은 지난 2019년 53.8건에서 2020년 65.1건, 2021년 70.3건, 2022년 81.9건, 2023년 100.4건으로 매년 늘었다.
TF는 지자체·공공기관(한국도로공사·한국철도공사 등)과 물류 업계 등이 참여한다. 주차장, 고가교 하부, 철도부지 등 도시 내 유휴부지를 생활물류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수시로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특히 주차장 유휴 공간에서 택배 환적 작업을 허용해 도시 주차장을 생활물류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근오 국토부 물류정책관은 "급증하는 도시 물동량을 처리하고 종사자 근로여건 개선·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 물류 업계의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확충이 긴요한 상황"이라며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