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소현 기자] 대기업 직원 중 여성 비율은 25%에 불과하며, 평균 급여는 남성의 7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오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주요 대기업의 업종별 남녀 직원 수 및 평균 급여 비교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상장 회사 중 주요 15개 업종별로 매출 상위 10위권에 드는 150개 대기업이다. 직원 수와 평균 급여는 지난 2023년 사업보고서를 기초 자료로 삼았다.
조사 결과, 150개 대기업의 전체 직원 수는 89만1717명이었다. 이중 남성은 67만1257명, 여성은 22만46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직원 중 여성 직원 비율은 24.7% 수준으로 4명 중 1명꼴인 셈이다.
여성 직원을 1만명 이상 고용한 곳은 △삼성전자(3만2998명) △이마트(1만3522명) △롯데쇼핑(1만3166명) △SK하이닉스(1만855명) 등 4곳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유통·상사 업종의 경우 여성 직원 비중이 51.2%로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금융업도 전체 직원의 50.2%가 여성이었다.
반면 철강업은 여성 직원의 비중이 5.1%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조사 대상 철강 업체 매출 상위 10개 기업의 지난 2023년 전체 직원 수는 2만3275명이었는데, 이중 여성 직원은 1196명으로 2000명에도 못 미쳤다. 자동차(6.9%)와 기계(8.6%) 업종도 10% 미만에 그쳤다.
기업별로는 △롯데쇼핑이 66.9%로 조사 대상 중 여성 직원 비중이 가장 높았다. △오뚜기(65.2%) △동원F&B(61.5%) △씨제이ENM(61.1%)도 60%를 웃돌았다.
연봉도 성별에 따라 격차가 존재했다. 지난 2023년 기준 150개 대기업의 남성 직원 평균 급여는 9530만원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여성 직원의 급여는 6650만원으로 남성 직원의 69.8% 정도로 집계됐다.
업종별 여성 직원 평균 연봉은 금융 업종이 9260만원으로 최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보통신(9000만원) △전자(7450만원) △가스(7120만원) △전기(7080만원) △석유화학(6920만원) △자동차(6690만원) 유통·상사(6330만원) △철강(6150만원) 제약(5910만원) △건설(5400만원) 순으로 연봉 5000만원을 상회했다.
기업별로는 여성 직원 연봉이 1억원을 넘는 곳은 총 14곳이었다. △에쓰오일이 1억15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삼성증권(1억1450만원) △삼성SDS(1억1300만원), 삼성화재·SK텔레콤(각각 1억900만원) △미래에셋증권(1억790만원) △NH투자증권(1억780만원), 삼성생명(1억700만원), 삼성물산(1억500만원), 기아차·SK하이닉스·네이버(각각 1억300만원), 현대차·서연이화(각각 1억200만원) 순이었다.
15개 업종의 남녀별 평균 급여를 비교했을 때 여성 직원 연봉이 남성 직원 연봉보다 앞선 곳은 한 곳도 없었다. 그나마 제약 업종의 여성 직원 보수는 5910만원으로 남성(7570만원)의 78% 수준으로 성별 임금 격차가 다른 업종에 비해 적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국내 기업에서 업종을 가리지 않고 여성 채용도 늘리고 남성과의 급여 격차도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며 "사업보고서 등 정기 보고서에 성별 중간관리자 비율 등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ohyu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