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자체 개발한 고속상륙정 솔개(LSF-II) 시뮬레이터가 해군에 성공적으로 전력화됐다고 6일 밝혔다.
KAI는 2021년 9월 방위사업청과 고속상륙정 솔개(LSF-II) 시뮬레이터 체계 개발 사업을 계약한 후 41개월간의 개발 과정을 거쳐 지난달 28일 해군에 납품을 완료했다.
고속상륙정은 독도함과 같은 대형수송함에 탑재돼 병력과 물자, 장비를 수송하는 상륙작전과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공기부양정이다. 시속 70km 이상의 고속 항해가 가능하며, 이를 조종하는 승조원들은 고난이도 조종 능력과 비상상황 대응 절차를 숙달해야 한다.
그동안 해군은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 없이 실제 상륙정을 활용한 훈련과 해외 업체의 시뮬레이터 교육을 병행해왔다. 하지만 비상상황 및 극한 환경 대응 훈련에 한계가 있었다.
KAI가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자체 개발한 함운동역학 기술과 모션 시스템을 적용해 해상환경(파도, 포말 등)을 고려한 3차원 훈련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해군은 현실적인 가상 훈련을 통해 상륙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하고, 승조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고속상륙정의 핵심 장비인 통합감시제어장치(CAMS) 개발 기술을 확보, 실함 탑재용 CAMS 국산화를 추진 중이라고 KAI는 설명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이번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는 그동안 KAI가 축적해 온 항공 및 해상 분야 기술력이 집약된 결과"라며 "해군의 정예 승조원 양성을 통해 상륙작전 수행 능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AI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VR·MR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터 개발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터 사업을 미래 핵심 사업군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hyang@tf.co.kr